신동아건설 본사./신동아건설 제공
일러스트=손민균

시공능력평가순위 58위 신동아건설이 기업회생절차(옛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은행권이 긴장하고 있다. 건설 경기 침체로 중소형 건설사는 물론 대형 건설사까지 구조조정에 들어가면 은행권의 손실이 불가파하기 때문이다. 금융 당국도 중소형 건설사의 차입금과 금융권 영향 등을 점검하고 있다.

9일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국내 20개 은행의 건설업종 대출 규모는 46조5074억원으로 전년 동기(42조7963억원) 대비 3조7111억원 증가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최대 규모다.

건설업 대출의 건전성은 악화되고 있다.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은행의 건설업종 대출 연체 규모는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1041억원으로 전년 동기(832억원) 대비 209억원 증가했다. 3개월 이상 연체돼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된 대출 규모는 4284억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54%(2780억원) 증가한 수치다.

금융 당국은 신동아건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이 금융권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금융권에선 건설업계의 대대적인 구조조정 우려가 나오고 있다. 중소형 건설사뿐 아니라 중견·대형 건설사들의 재무 건전성도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공순위 30위권내 건설사 중 지난해 3분기 기준 부채비율이 적정기준인 200%를 초과한 기업은 10곳에 달했다. 국토교통부의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까지 부도를 신고한 건설사는 총 27곳으로, 전년 같은 기간(13곳)보다 2배 가량 증가했다.

은행권은 줄도산 가능성을 낮게 보면서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건설업 부실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며 “정부의 지원 하에 건설사 줄도산은 없을 것으로 보지만, 워크아웃이나 채무조정같은 구조조정에 들어갈 기업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