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관람객들이 주변 아파트 단지를 바라보고 있다. /김연정 객원기자

최근 2년간 서울 등 수도권에서 ‘갭투자(전세 낀 주택 매매)’로 집을 산 사람 중 30대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6·17 대책 등을 통해 갭투자를 규제한 이후로도 30대의 매수 비중은 줄지 않았다.

28일 국토교통부가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수도권 연령대별 주택거래 현황’에 따르면, 2019년 1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서울 갭투자는 총 7만1564건이었다. 이중 30대가 2만1996건(30.7%)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20대도 3939건(5.5%)으로, 서울 갭투자자 3명 중 1명은 2030세대였다. 이 조사에서 갭투자는 자금조달계획서에 ‘보증금 승계 거래 중 임대 목적 매입’을 기입한 경우를 뜻한다.

서울 자치구 중 30대 갭투자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곳은 성동구로, 39.6%(1175건)였다. 이어 강서구(35.4%), 중구(35.2%), 동작구(34.7%), 구로구(34.1%) 등 순이었다.

경기도에서는 성남(36.2%), 과천(33.3%), 광명(29.9%), 안양(35.2%), 구리(32.2%) 등에서 30대 갭투자 비율이 높았다.

갭투자를 막기 위해 대출규제를 강화한 6·17 대책 이후로도 30대 갭투자는 6월 32.9%, 7월 31.9%로 높은 비중을 유지했다.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기한이 남아 있지만, 8월에는 37.6%까지 상승했다.

김상훈 의원은 “내 집 마련을 위해 일단 ‘전세끼고 사놓는’ 청년 세대의 갭투자가 서울을 넘어 수도권 전역에 걸쳐 일어났다"며 “무분별한 갭투자 규제는 자칫 2030 청년세대의 내 집 마련 사다리를 걷어차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