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김연정 객원기자

수도권에서 집을 사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8년을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수도권 집값이 치솟으면서 1년 전(6.8년)보다 기간이 1년 이상 늘었다.

13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0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수도권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PIR·중위가격 기준)’은 8.0배로, 2019년(6.8배)보다 크게 올랐다. 수도권에서 중간 정도의 소득을 버는 사람이 월급을 고스란히 모아 중간 가격 정도의 집을 사는 데 8년이 걸린다는 의미다.

수도권에서 이 지수가 8배 이상을 기록한 것은 2006년 조사 시작 이후 처음이다. 매년 소득을 고스란히 모으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내집마련 기간은 훨씬 더 길어진 셈이다.

전국 기준으로는 5.5배, 광역시는 6.0배, 도(道) 지역은 3.9배로 조사됐다. 모든 지역의 PIR이 전년 대비 상승했다. 작년 한 해 수도권은 물론 전국적으로 집값이 급등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평균소득과 평균가격 기준으로는 PIR이 더 높았다. 수도권 9.6배, 광역시 6.8배, 도지역 4.5배를 기록했다. 국토부는 서울 지역 PIR을 따로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민간 조사기관인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서울의 PIR은 17.8배였다.

◇자가보유율도 감소… 국토부는 “가구수 늘어난 영향”

내 집을 보유한 가구 비율인 자가보유율은 전국 60.6%로 전년 61.2%보다 낮아졌다. 수도권이 54.1%에서 53.0%로 1%포인트 이상 떨어졌고, 광역시도 62.8%에서 62.2%로 감소했다. 도 지역만 유일하게 71.2%에서 71.4%로 소폭 상승했다.

국토부는 “주택 공급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지만 1인 가구 등 가구수가 늘어나면서 자가보유율이 낮아진 것”이라고 했다. 여기에 가구수 대비 부족한 주택 공급량,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 정책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집을 보유해야 한다’는 응답 비율은 87.7%로, 전년도(84.1%)보다 높아졌다. 내집 마련 욕구가 커지면서 2018년 이후 계속 응답 비율이 늘고 있다.

일부 좋아진 지표들도 있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가 재작년 5.3%에서 작년 4.6%로 감소했다. 1인당 주거면적은 32.9㎡에서 33.9㎡로 늘었다. 공공임대주택 거주 가구의 만족도도 93.5%에서 94.4%로 개선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