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의 소국 아랍에미리트(UAE)가 2024년 이동형 로봇(로버)으로 달을 탐사하겠다고 발표했다. 성공하면 아랍 국가 최초이자 세계에서 5번째로 달에 로버를 보낸 국가가 된다. 지금까지 달에 탐사 로버를 착륙시킨 국가는 미국과 러시아, 유럽, 중국 등 우주선진국들이었다.
국제 학술지 네이처는 5일(현지 시각) “UAE의 모하메드 빈 라시드 우주센터(MBRSC)가 10㎏ 무게의 로버를 개발해 2024년 달로 보내겠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UAE는 이 로버에 1971년 건국 당시 두바이를 통치한 고(故) 라시드 빈 사이드 알 막툼 부통령의 이름을 따 ‘라시드’라는 이름을 붙였다.
◇전기 띤 먼지 특성, 최초로 분석할 계획
UAE 연구진은 외국의 우주개발기구나 우주기업과 손을 잡고 라시드 로버를 발사해 달에 착륙시키겠다고 밝혔다. 라시드는 현재 달에서 유일하고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로버인 중국의 창어4호에 비하면 10분의 1 무게이다. 덕분에 다른 달 착륙선에 실을 수 있다고 UAE측은 기대한다. 그만큼 로버 발사와 운용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은 2024년 달에 우주인을 보내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데, 그 일환으로 민간 달 착륙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UAE는 달 탐사 로버가 크기는 작지만 과학 장비를 알차게 꾸리겠다고 밝혔다. 로버에는 카메라 4대를 비롯해 총 6개의 과학 장비가 탑재된다. 영국 개방대의 한나 사전트 교수는 “그들은 현 단계에서 먹을 수 있는 정도 이상은 물지 않을 것”이라고 네이처에 밝혔다.
라시드의 가장 큰 임무는 달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달 지형의 구성 형태를 알 수 있다. 또 달 먼지의 크기와 구성 성분을 현미경 수준으로 연구할 예정이다.
가장 눈에 띄는 장비를 달 표면을 떠다니는 하전 입자를 측정하는 랭뮤어 프로브이다. 달에는 태양에서 불어오는 고에너지 입자 때문에 전기를 띤 하전 입자들이 떠다닌다. 이 입자들이 표면이 날카로운 달 먼지가 어떤 표면에도 잘 달라붙게 한다. 과거 우주인이 달을 탐사할 때 우주복과 탐사 장비에 달라붙은 먼지를 털어내는 게 중요한 작업이었다.
◇달 탐사는 유인 화성 탐사의 전초전
라시드 착륙지는 아직 미정이지만 북위 45도와 적도 사이일 것으로 추정된다. 극지에 비해 암석이 적어 안전한 착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지구에서 보이는 쪽을 택했다. 그래야 지구와 통신이 쉽다.
임무 기간은 달의 하루, 즉 지구의 14일로 예정됐다. 그 사이 수백m에서 수㎞까지 탐사한다는 것이다. UAE 연구진은 탐사 로버가 영하 173도까지 기온이 떨어지는 달의 밤도 견딜 수 있도록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UAE의 화성 유인 탐사 계획을 맡고 있는 아드난 알 라이스는 네이처에 “밤에 로버가 견디려면 새로운 기술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술은 장차 화성 탐사에도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UAE는 최근 우주탐사의 강소국으로 떠올랐다. 지난 7월 20일 UAE는 일본의 H2A 로켓에 화성 탐사선 아말(아랍어로 희망이란 뜻)을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 탐사선 아말은 4억9350만㎞를 날아가 내년 2월 화성 궤도에 진입한다. 우주기구를 세운 지 6년, 위성 프로그램을 시작한 지 14년밖에 우주탐사 무대에 본격 진입한 것이다. 이번에 발표한 달 탐사 로버는 미국에서 만든 화성 탐사선과 달리 개발 과정이 모두 UAE에서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UAE는 우주개발 초기 우리나라의 도움을 받았다. UAE는 우리나라 위성 개발 업체 쎄트렉아이의 도움을 받아 2009년 첫 인공위성 두바이샛을 개발했다. 2013년 두바이샛2도 쎄트렉아이와 공동 개발했다. 하지만 UAE가 속도전을 벌이는 사이 우리나라는 정권에 따라 우주개발이 오락가락하면서 뒤처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달 궤도선과 착륙선을 각각 2022년, 2030년 발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