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13일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나오는 방사능 오염수를 2023년부터 약 30년에 걸쳐 해양 방류하겠다는 방침을 공식 결정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직후 한 차례 방류한 이후 10년간 누적된 오염수를 더 이상 저장할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한국을 포함한 주변국들은 당장 강하게 반발했다. 일본 내부에서도 반대 여론이 높다. 방사능 오염수는 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인지, 바다로 흘러들면 생태계나 식탁 안전에는 문제가 없는지 등을 문답으로 풀어본다.

1. 왜 오염수 방출을 밀어붙이는가

일본 정부는 주변국의 반발에도 오염수 방류 입장을 고수해왔다. 2011년 3월 일본 동북부 지역을 강타한 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의 냉각수 공급이 끊기고 핵연료가 녹아내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금까지도 뜨거운 원자로를 식히기 위해 냉각수를 붓고 있다. 원전 내에 빗물과 지하수까지 유입되면서 하루에 140t씩 오염수가 나오고 있다. 현재 부지 내 총 저장 용량인 137만t 가운데 91% 정도인 125만t이 저장됐다. 방류를 하지 않으면 2022년 말 가득 찰 것으로 예상돼 더는 방출을 미룰 수 없다는 것이 일본 정부의 판단이다.

2. 해양 방출 오염수는 안전한가

오염수 125만t에는 총 860조 베크렐(㏃)의 방사성물질이 들어있다. L당 평균 58만㏃ 수준이다. 1㏃은 1초에 방사선이 하나 나오는 양이다. 일본 정부는 세슘·스트론튬 같은 강한 방사성물질은 대부분 처리하고 화학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삼중수소와 일부 탄소 14가 남았다고 밝혔다. 바다에 방류할 때는 일본 원전의 냉각수 삼중수소 배출 기준인 L당 6만㏃보다 훨씬 낮은 1500㏃로 희석하기 때문에 문제없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도 “기준치 이하의 삼중수소는 당장 피해를 주지 않는다”면서도 “다만 이 정도 규모로 오염수가 방류된 적이 없어 해양 생태계나 주변국에 대한 장기적인 영향은 불확실하다”고 말한다. 실제로 최근 후쿠시마 인근 해안에서 잡힌 우럭에게서 기준치의 5배에 이르는 방사성물질 세슘이 검출돼 일본의 처리 능력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한국 원전의 경우 냉각수 삼중수소 배출 기준은 일본보다 엄격한 L당 4만㏃이지만, 월성 원전의 경우 2019년 13.2㏃로 희석해 방류했다.

3. 한국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태평양으로 오염수가 일부 배출된 이후, 우리 정부는 해수 방사능 오염 감시를 강화했다. 아직 방사능 측정 수치의 변화는 없다. 이번 일본 정부의 결정으로 2023년부터 오염수가 배출되면 한반도 인근까지 오염수가 오는 데 4~5년 정도 걸릴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방사성물질은 바다에서 희석이 돼서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반면 “해양 생태계 먹이사슬을 거쳐 방류의 영향이 우리 식탁에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4. 주변국들 반발 어떻게 하나

주변국들은 방사능 오염 우려에 지속적으로 국제 공조를 요구해왔다. 배출 문제는 일본 내 문제이기 때문에 주변국이 일본 정부에 결정을 강제할 수는 없다. 다만 일본에서도 후쿠시마 인근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커 내부 합의를 보지 못한 상태여서 주변국이 무조건 받아들일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일본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동의를 받았다고 하지만 주변국들과 직접적인 논의를 한 적은 별로 없었다. 이 때문에 해상 방류 이후에도 감시 정보가 제대로 공유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적잖다. 정용훈 카이스트 교수는 “일본 정부가 오염수 방류를 강행한다면 무조건 반대만 할 게 아니라 방사성물질이 잘 처리되는지 우리나라가 직접 검증하는 편이 낫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