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중 한탄강에서 외국인 병사 3000여명이 원인불명의 병에 걸려 피를 쏟고 쓰려졌다. 그로부터 20여년이 지난 1976년, 한 한국인 미생물학자가 들쥐에서 나온 바이러스가 병의 원인임을 밝혀내고 한탄강을 따서 한탄바이러스라고 이름 지었다.
해마다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족집게 예언해온 글로벌 학술 정보 분석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이호왕(李鎬汪·93) 고려대 명예교수가 칼 존슨 미국 뉴멕시코대 명예객원교수와 함께 한탄바이러스의 발견과 신증후군출혈열(HFRS) 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이 유력시 된다”고 23일 발표했다.
클래리베이트는 지난 2002년부터 생리의학·물리학·화학·경제학 분야에서 논문이 다른 학자의 논문에 2000회 이상 인용된 상위 0.01%의 우수 연구자들을 노벨상 수상 후보로 선정하고 있다. 지금까지 후보로 지목한 연구자 376명 중 59명(16%)이 실제로 노벨상을 받았다. 국내에서는 2014년 카이스트 유룡 교수와 2017년 성균관대 박남규 교수, 2018년 울산과기원 로드니 루오프 교수, 2020년 서울대 현택환 석좌교수가 각각 화학상 후보로 선정된 바 있다.
이호왕 박사는 이번 발표에 대해 “1970 년대 한국은 연구에 있어 후발국의 위치에 있었고, 이 환경에서 연구를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며 “내 연구가 세계의 출혈성 질환의 원인 바이러스를 규명하는 단초를 제공했다는 것, 그리고 많은 연구원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나아가 인류 건강을 지키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이 박사는 함흥의과대학을 다니다가 월남해 1954년 서울대 의대를 졸업했다. 1954년~1956년 육군 중위로 복무한 후 미국으로 유학해 1959년 미네소타 주립대 미생물학과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969년 미 육군성의 지원을 받아 유행성 출혈열 연구를 시작해 한탄바이러스를 발견했다. 한탄바이러스는 한국인이 발견한 최초의 병원미생물이다. 이 업적은 현재 모든 의학, 생물학 교과서에 수록돼 있다. 이 박사는 “군부대 주변에서 들쥐를 사냥하다가 무장간첩으로 오인받아서 경고사격을 당하기도 했다”며 “과학자는 실패를 해도 포기하겠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호왕 박사는 한탄바이러스를 발견한 데 이어, 1989년에는 국내 제약사 녹십자와 함께 한탄바이러스 예방백신인 ‘한타박스’도 개발했다.
올해 피인용 우수 연구자로 선정된 16명 중 9명은 미국, 3명은 일본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프랑스, 이탈리아, 한국, 싱가포르 출신 연구자들이다. 생리의학 분야에서는 이호왕, 칼 존슨 박사 외에 장 피에르 샹제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 명예교수와 히라노 토시호 일본 양자과학기술연구개발기구 (QST) 소장, 기시모토 타다미츠 오사카대 명예교수가 후보에 올랐다.
물리학 분야에서는 알렉세이 키타예프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교수, 마크 뉴먼 미국 미시건대 석좌교수, 조르조 파리시이탈리아 로마 라 사피엔자대학 명예교수가 수상 후보로 꼽혔으며, 화학 분야는 배리 할리웰 싱가포르국립대 석좌교수, 윌리엄 요르겐센 미국 예일대 교수, 사와모토 미쓰오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가 수상 후보로 선정됐다.
경제학상 유력 후보로는 데이비드 오드레치 미국 인디애나대 석좌교수, 데이비드 티스 미국 캘리포니아대 하스경영대학 교수, 조엘 모키어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 카르멘 라인하트 미국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교수,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가 각각 수상이 유력하다고 클래리베이트가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