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헥스가 개발한 3D 푸드 프린터로 피자를 만드는 장면. /BeeHex

미 항공우주국(NASA)의 스핀오프(spin-off) 기업이 폐플라스틱으로 우주 식량을 만드는 데 도전한다.

미국의 3D 푸드 프린팅 기술 회사 비헥스(BeeHex)는 최근 플라스틱을 먹거리로 변환하는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나사(NASA)에서 개발한 3D 푸드 프린터 기술을 사업화해 분사한 스타트업으로, 2017년 3D 프린터로 6분 만에 원하는 모양과 재료로 피자를 만들어주는 ‘셰프 3D’를 선보였다.

이번에 비헥스가 개발 중이라고 밝힌 기술은 폐플라스틱을 미생물과 반응시켜 바이오매스(biomass)를 만들어내고, 이를 이용해 스테이크나 닭가슴살 등 인공 식품으로 변환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바이오 반응기와 3D 푸드 프린터 등을 통합한 컨테이너를 2026~2027년에 우주로 보낸다는 구상이다. 이를 국제우주정거장(ISS)과, 건설 예정인 달 유인(有人)기지에 들인다는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미 국방부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지원을 받고 있다. 대형 재난 현장이나 대규모 난민 캠프 등에서 폐플라스틱을 식량으로 변환하는 바이오 반응기와 3D 푸드 프린터가 유용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비헥스는 이 기술의 시장 규모가 10억달러(약 1조3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다.

국제우주정거장(ISS)의 우주비행사들이 우주에서 재배한 채소를 맛보고 있다. 미 항공우주국(NASA)의 3D 푸드 프린터 기술을 사업화한 기업이 이르면 3년 안에 폐플라스틱으로 우주 식량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미 항공우주국(NASA)

학계에서는 폐플라스틱을 미생물로 분해하는 기술 등이 환경 문제도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 앞서 2021년 말 스웨덴 샬머스공대 연구진은 미생물이 플라스틱을 먹고 살아가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DNA 샘플을 분석한 결과 유기체의 25%가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가진 것으로 나타나 미생물의 플라스틱 분해력을 확인한 연구다. 영국 에든버러대 연구진은 대장균을 이용해 페트(PET)를 테레프탈산으로 분해하고, 다시 요리용 향미(바닐라 향)로 변환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플라스틱을 먹이로 삼아 분해하는 미생물을 1주일 안에 찾아내는 스크리닝 키트를 개발했다.

다만 플라스틱을 미생물로 분해해 먹을거리로 변환하는 기술이 상용화되려면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을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공정으로 생산되는 식품 단가가 너무 높다는 점도 넘어야 할 한계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