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부 선전 근처의 다야베이원자력발전소. 중국 본토에 세워진 최초의 상용 원전이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이후 중국의 원전 확대 정책을 재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AP 연합뉴스

싱하이밍 주한 중국 대사는 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에 대해 “일본이 경제 이익을 위해 태평양을 자신의 집 하수도로 삼고 있다. 결연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에 포함된 삼중수소를 문제 삼은 것이다. 하지만 현재 동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삼중수소를 배출하고 있는 것은 중국 원전이다. 일본 원전의 6배, 한국의 5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9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따르면 중국은 2020년 한 해 동안 삼중수소를 1054TBq(테라베크렐) 배출했다. 중국은 원전 55기를 상용 가동 중이다. 현재 원전 23기를 건설 중인데 이는 전 세계에서 건설 중인 원전(59기)의 40%에 달한다. 중국의 원전 가동이 급증하면 삼중수소 배출량도 이에 비례해 늘어난다.

반면 일본은 2019년 원전 9기를 가동하면서 연간 175TBq을 배출했다. 중국 삼중수소 배출량의 6분의 1 수준이다.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2011년) 전인 2010년까지 54기의 원전을 운영했지만, 사고 이후 대부분의 원전 가동을 중단했다. 후쿠시마 사고 이전인 2010년에도 일본의 연간 삼중수소 배출량은 370TBq로 현재 중국 배출량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았다. 일본에서 현재 가동 가능한 원전은 33기로, 그중 10기가 가동되고 있다.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를 처리해 연간 배출하려는 삼중수소 양은 연간 22TBq 수준으로 중국이 현재 배출하는 삼중수소의 48분의 1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중국 원전의 삼중수소 배출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정용훈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한반도 주변국에서 원전이 더 늘어나도 정상 운전 시에는 삼중수소가 한국에 주는 영향은 거의 없다”며 “오히려 중국에서 원전 사고가 일어나면 편서풍과 서해의 얕은 수심 때문에 일본 사고 때보다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원전이 한반도 서해 지역에 밀집해 있어 방사능 유출 같은 영향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일본은 원전 사고로 방사능이 유출돼도 태평양을 돌아 한반도로 유입되기 때문에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삼중수소

삼중수소는 일반 수소 원자보다 중성자가 2개 더 붙어 있는 수소의 방사성 동위원소이다. 자연계에도 미량 존재한다. 원전 가동과정에서도 나오기 때문에 국가별 기준을 세워 해양에 배출한다. 후쿠시마 오염수를 처리하는 다핵종제거설비로는 걸러지지 않기 때문에 낮은 농도로 희석시켜 배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