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허가할 권한이 있는 단체는 아니다. 적법한 기준에 맞춰 정화한 오염수를 영해 내에 방류하는 것은 국가의 고유 권한이자 책임이기 때문이다. 4일 IAEA 또한 최종 보고서에서 “다른 모든 나라와 마찬가지로 원자력 안전과 관련된 결정은 국가의 책임”이라며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는 오염수 처리·방류 계획을 지난 5월 승인했다”고 언급했다.
IAEA의 보고서가 지침이자 과학적 자문 결과에 불과한데도 일본 정부는 국제사회의 이해를 구하려고 IAEA의 안전 검사 결과를 2년간 기다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IAEA가 이란·북한 등 핵 보유 문제 지역을 사찰하고, 전쟁으로 위험 상황이 우려되는 우크라이나 자포리아 원자력발전소 문제 해결에 나서는 등 국제 사회에서 가장 공신력 높은 원자력 관련 기구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본 정부는 4일 “오염수의 안전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이해를 얻는 데 IAEA의 보고서는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IAEA는 원자력에 대한 국제적 공동 관리를 위해 1957년 설립된 국제연합(UN) 산하 준독립 기구로, 우리나라와 일본을 포함해 세계 176국이 가입해 있다. IAEA는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지속적으로 후쿠시마의 상황을 모니터링해 왔고, 2021년 일본 정부의 의뢰를 받아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에 대한 안전성 검토를 시작했다.
IAEA는 2021년 7월 소속 직원과 한국, 일본, 미국 등 11국 원자력 전문가들로 구성된 ‘IAEA 모니터링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한국에선 김홍석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방사선평가실 책임연구원이 참여하고 있다. 김 책임연구원은 방사성 물질 분석·평가 분야 전문가로 UN 방사선 영향 과학위원회(UNSCEAR) 한국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TF는 최종 보고서 발간 이전까지 총 6차례 보고서를 내놓았다.
최종 보고서에서 IAEA는 “오염수 탱크에서 추출한 샘플을 산하 연구소 3곳에서 분석했을 뿐 아니라 한국, 미국, 프랑스, 스위스 등의 연구소와 교차 검증을 거쳤다”고 밝혔다. 이 국가들 연구소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검증했다는 것이다. 한국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분석을 진행했다. 보고서는 “모든 샘플이 IAEA 검증단 참관하에 채취됐다”고 명시했다. 일본이 샘플을 조작했을 가능성이 없다는 뜻이다. IAEA는 “IAEA 연구실과 제3자 연구실 모두 유의미한 수준의 방사성 물질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