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우주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꾸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민간이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에 우주 관련 스타트업을 키우기 위한 전략적인 접근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창진 건국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의 우주 산업 규모는 매출액 기준으로 글로벌 시장의 1%도 되지 않는다”며 “우리나라 자체 규모를 가지고 우주 산업을 논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했다. 이어 “우주개발을 위해서 위성과 발사체라는 기본적인 인프라가 필요한 것은 맞지만 그다음에는 우주 산업을 키워갈 수 있도록 전 세계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부품 산업이나 첨단 소형 위성 등 한국만의 장점을 키워가야 한다”고 했다.
김정수 부경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스타트업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내 우주 기술은 정부가 주도하다 보니 대부분이 연구소 R&D에 머무르는 것이 현실”이라며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산업적인 파급력을 가져야 하는데 그런 효과를 거의 보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김 교수는 “(구조적으로) 산업 지원과 R&D 지원이 나뉘어 있다 보니 시너지를 못 내고 있다”며 “우주 산업의 전반을 아우를 우주청이 만들어지고, 충분한 권한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허환일 충남대 항공우주학과 교수는 “인도가 강력한 정부 주도 우주개발로 우주 강국으로 급부상한 것처럼 정부가 자양분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했다. 이어 “민간 기업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적시적기에 움직이는 것인데, 국가와 민간이 충분한 의사소통을 통해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며 “신산업인 우주 분야에서는 규제 샌드박스 등을 통해 현재의 패러다임과 트렌드를 놓치지 않고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