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과 그린란드 빙하 유실에 따른 2050년 지구 해수면 변화. 남극과 그린란드 인근 바다에서는 해수면 하강이 예측되는 반면, 중·저위도 지역에서는 해수면 상승이 두드러질 것이라 추정된다(붉은색). 초록선은 전 지구 평균값이다.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 유실에 따른 2050년 지구 해수면 변화. 남극과 그린란드 인근 바다에서는 해수면 하강이 예측되는 반면, 중·저위도 지역에서는 해수면 상승이 두드러질 것이라 추정된다(붉은색). 초록선은 전 지구 평균값이다.

극지방 빙하가 녹으면서 2050년에는 지구 평균 해수면이 약 3.6cm 오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 인천의 해수면은 지구 평균보다 10% 더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극지연구소 연구팀은 1992년 이후 인공위성으로 관측한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해수면 변화를 예측한 결과를 3일 공개했다.

빙하는 지난 30년간 꾸준히 줄어들었다. 사라진 빙하는 대부분 바다로 흘러가 해수면을 높였다. 연구팀은 빙하 감소 양상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측했다. 통계적인 기법을 적용해 미래의 빙하 손실량을 계산하고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했다.

예측 결과, 빙하가 줄면서 남극과 그린란드 주변은 만유인력의 감소로 해수면이 오히려 하강했으며 먼바다에서는 반작용으로 평균보다 해수면 상승 폭이 컸다. 인천은 이러한 과잉 상승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지구 평균보다 10% 높은 약 4cm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는데, 이는 뉴욕, 시드니 등 5개 주요 해안 도시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였다.

남극과 그린란드에는 지구의 해수면을 65m 높일 만큼의 빙하가 쌓여 있고, 최근 빙하의 손실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달 극지에서 가장 취약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히는 남극 스웨이츠 빙하에서 정밀 관측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원상 극지연구소 빙하환경연구본부장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위도와 저위도 연안 국가들은 극지 빙하가 녹으면서 나타나는 해수면 상승 피해의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이라며 “해수면 상승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