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보안’은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국 정부도 대규모 생체 정보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다.

정부가 지난달 사업단을 출범시키고 본격 시작한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은 국민 100만명의 혈액·소변·조직 등 검체를 채취하고, 임상 정보와 진단 및 처방 정보, 유전체 분석 정보까지 통합해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바이오뱅크(biobank)로 통칭하는 각종 생체 정보를 데이터뱅크(databank)로 관리한다는 의미다.

올해부터 2028년까지 1단계로 국비 6039억원과 민간 자본 26억원을 들여 77만2000명의 바이오 빅데이터를 확보하고, 이후 100만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참여자 동의를 받아 확보하는 바이오 데이터 가운데 핵심으로 꼽히는 것이 DNA 염기 서열을 비롯한 유전체 분석 정보(총 55만명)다. 이를 통해 어떤 병에 걸릴 위험이 높은지 예측할 수 있고, 당사자에게 최적화한 맞춤형 치료도 할 수 있다. 정부가 이 사업을 하는 취지도 바이오 빅데이터를 활용해 신약과 의료 기기를 개발하고, 글로벌 바이오 산업의 주도권을 쥐겠다는 것이다.

이번 사업에 쓰일 유전체 분석 장비의 유력 공급 회사로는 미국의 일루미나와 중국의 MGI가 거론된다. MGI는 미국의 바이오 보안법 규제 대상 기업이다. 업계에서 일루미나는 기술력, MGI는 가격 경쟁력에서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국 정부가 이번 사업에 어떤 장비를 쓰느냐에 따라 국내 바이오 기업의 해외 진출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의 바이오 보안법에 따라 해외 진출에 제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MGI는 지난 23일 “유전자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수집, 보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