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인해 2022년 여름 한반도에 막대한 피해를 준 ‘힌남노’급의 강력한 태풍이 2050년대에는 2~3년마다 찾아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포항공대) 환경공학부 민승기 교수, 김연희 연구교수, 이민규 박사 연구팀은 경북대, UNIST, 국립기상과학원과의 공동 연구에서 동중국해 수온과 한반도 상륙 태풍의 강도 간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기상학회보’에 최근 게재됐다.
태풍은 수온이 높아질수록 더욱 많은 에너지를 얻는다. 우리나라에 상륙하는 태풍들은 대부분 제주도 남쪽에 있는 동중국해를 지나는데, 이 지역 수온이 높아지면 태풍이 강한 세력을 유지할 수 있는 에너지가 커지는 것이다. 포항과 경북 지역에 큰 피해를 준 힌남노의 세력이 강했던 원인으로도 29도 이상으로 이례적으로 높았던 동중국해 수온이 꼽힌다.
연구팀은 1982년부터 2022년까지 동중국해를 거쳐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초강력 태풍(최대풍속 54m/s 이상) 16개를 분석한 결과, 동중국해의 8~9월 평균 수온이 높을수록 태풍 상륙 당시의 강도가 강해졌다고 밝혔다. 태풍이 가장 강력한 상태에 도달하는 위도도 과거보다 북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중국해 온난화로 인해 태풍이 약해지지 않고 강한 세력을 유지한 채 북상한다는 것이다.
또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경우 동중국해 고수온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최소 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 활동이 동중국해의 온난화를 심화시키고, 이 온난화가 연쇄적으로 한반도로 향하는 태풍의 세력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이다. 동중국해 고수온 현상이 빈번해지면서, 힌남노급 태풍은 2030년대에는 5년마다, 2050년대에는 2~3년마다 한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민승기 교수는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와 상관없이 동중국해의 온난화가 충분히 강해져 ‘힌남노’급 태풍의 상륙 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