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과 관련해 의정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6일 대구 한 의과대학 강의실에 의사 가운과 국가고시를 위한 서적이 놓여 있다./연합뉴스

정부·여당이 ‘의대 증원 원점 논의’를 언급하며 의료계에 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반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의료공백 사태가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기대된다. 다만 의료계는 아직까지 공식적인 응답이 없는 상태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6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지금이라도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을 포함해 의료 개혁 문제에 대해 얼마든지 열린 마음으로 원점에서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와 당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도 의료계가 참여하면 얼마든지 원점에서 논의를 시작해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한 적정 규모 논의에 열린 마음으로 참여할 입장을 갖고 있고, 당도 마찬가지”라고도 말했다.

대통령실 역시 2026년 증원 규모를 조정할 수 있으며 여·야·의·정 협의체도 구성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도 이날 “여·야·의·정이 함께 머리를 맞대 의대 증원의 합리적 대안을 모색하는 협의체를 구성하자”고 4자 협의체를 제안하면서 “대통령실에서도 공감하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대통령실과 국민의힘이 잇따라 의대정원 재논의 가능성을 강조하고 나서면서 그동안 좀처럼 성사되지 못했던 의정 대화가 시작될 수 있을지 기대된다.

다만 의료계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 등 의사단체들은 아직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한 관계자는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 제안에 대해 “아직 의협에 공식적으로 협의체 구성에 관한 제안이 오지 않았고, 협의체를 통해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도 없어서 아직 참여 여부를 구체적으로 말하기는 섣부르다”고 말했다.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관계자는 “2025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가 되지 않으면 전공의와 학생들이 복귀하지 않을 거라 교수들이 협의체에 들어가기는 어려울 듯하다”고 말했다.

강희경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안건을 제한하지 말고, 논의 과정을 공개해야 한다”며 “적어도 속기록을 제대로 만들고 밀실에서 논의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