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는 우리 퀀텀(양자) 과학과 기술 역량을 집중해서 창의적인 시너지가 나올 수 있도록 퀀텀 연구자들의 플랫폼을 만들고자 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6월 27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퀀텀코리아 2023′에 참석해 세계적인 양자과학기술 분야 석학과 국내 연구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퀀텀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양자과학기술 연구자들이 함께 모여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연구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구상이었다.
윤 대통령이 약속한 ‘퀀텀 플랫폼’이 베일을 벗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부터 2029년까지 양자 공동연구실 20개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공동연구실은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을 중심으로 대학과 기업까지 참여하는 양자 연구 거점이다. 이를 위한 예산 494억원도 배정했다.
젊은 연구 인력을 키우는 것도 양자 공동연구실 사업의 중요한 목표다. 공동연구실로 지정되려면 대학과 기업 소속의 박사급 신진 인력을 1명 이상 연구원으로 상주시켜야 하다는 조건도 마련했다.
양자과학기술 분야는 석·박사 인력이 배출돼도 일자리가 부족한 상황인데, 양자 공동연구실을 통해 이 문제를 풀겠다는 구상이다. 과기정통부는 “양자과학기술 핵심 연구인력 100명을 배출하고, 이 사업을 통해 육성한 인력은 기업과 산업계로 진출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출연연과 학계, 기업이 공동 연구를 하면서 물리학으로 쏠려 있는 국내 양자과학기술계의 연구 중심을 다른 인접 학문으로 넓힌다는 목표도 있다. 양자과학기술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전기전자공학, 정보통신공학, 소프트웨어공학, 기계공학 등 다른 학문과의 협업이 필수인 만큼 기업과의 공동 연구로 양자연구 기반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양자 공동연구실을 지원하기 위한 조직과 시스템도 만든다. 양자 연구거점은 양자 공동연구실을 포괄하는 지원 체계로, 지원단과 운영위원회, 기술자문위원회 등으로 구성된다. 과기정통부는 ‘중장기 양자 핵심‧원천 연구’와 ‘양자 활용 연구 및 소재·부품·장비 개발’ 등 2개 양자 연구거점을 만들 계획이다. 각각의 연구거점 아래 10개씩 공동연구실이 생기는 구조다.
양자 연구거점은 연구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 인프라를 갖춰 공동연구실이 언제든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기존의 양자팹과 양자테스트베드도 모을 계획이다. 양자팹은 양자역학 기반의 반도체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공정 시설이고, 양자테스트베드는 초기 상용품 시험에 필요한 인프라다.
이와 함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산하의 양자국가기술전략센터는 양자과학기술 정책센터로 확대·개편된다. 올해 11월 시행 예정인 양자법에 근거해 양자 육성 기본계획과 시행계획, 각종 통계조사, 정보 제공 등 양자 정책 수립과 산업 발전을 위한 역할을 맡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산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양자과학시술 버전이 생기는 셈이다.
과기정통부는 “양자연구 거점과 지원체계를 구축해 양자과학기술 역량을 결집하겠다”며 “대학과 출연연, 기업 간 공동연구실을 통해 다른 분야로 확장할 수 있는 ‘씨앗 연구’를 하고, 인력 공동 양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