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화목금 발송하는 유료 레터 [스타트업]의 콘텐츠입니다. 가입은 [클릭]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3087 하세요. 이 기사는 무료 공개 기간이 끝났고 원문 일부 공개합니다.
질문하겠다. 당신에게 10만원을 주겠다. 대신 길 가는 사람을 무작위로 골라, 당신의 10살짜리 딸과 단 둘만 1시간 같이 있게 하겠다. 대답은 십중 팔구는 ‘미쳤다’ 일것이다. 다짜고짜 낮선 사람에게 소중한 아이를 맡길 순 없는 노릇이다.
째깍악어 김희정 창업가와 인터뷰 약속을 잡고선 한참 동안 [인간을 신뢰하는 가격은 얼마일지]를 고민했다. 째깍악어는 부모가 집 비운 사이, 아이들을 봐줄 낯선 사람을 소개하는 일이다. 2016년 창업했으니 벌써 6년째다. 서울에서 아이 키우는 맞벌이 엄마들치고 한두번쯤 째깍악어를 들어봤거나 써봤을 것이다. 유명하다. 하지만 째깍악어는 그다지 돈을 벌지 못한다. [신뢰의 가격 딜레마]의 벽을 넘긴,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신뢰의 가격를 매우 크게 평가한다. 표면적으론 그렇다. 자기 아이를 길거리에서 모르는 사람에게 맡기라고 하면, 신뢰가 없기 때문에 억만금을 준다해도 거절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초등학교 1학년 아이를 맡길때 ‘신뢰할 수 있는 보모’와 ‘잘 모르는 보모’간 가격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A와 B보모 후보 가운데 A는 성추행 전과 여부를 정부기관에서 확인했고 B는 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A와 B의 차이를 만드는데 소개업체는 발품을 팔았고 비용이 들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의외로 A와 B간 가격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9월초 김희정 대표를 만나러가는 길은 그래서 우울했다. 맞벌이 부부의 육아는 온 세상이 다 아는 페인포인트지만 누구도 풀지 못한 숙제다. 예전엔 인터뷰갈때 창업가가 콕 집어줄 해법에 설렜지만 이번만큼은 달랐다. 신뢰의 값어치에 대한 인간의 상충된 심리를 누가 바꿀 수 있겠는가.
◇정부는 바보가 아니지 않나요, 라는 바보같은 질문은 왜 했을까.
째깍악어 사무실에 도착하곤, 신뢰의 가치에 대한 고심도 우울함도 순간 사라졌다. 사무실에 애완견이 있었다. 뜻밖의 광경이었다. 무려 3마리다.
“고디바, 마일로, 사하라예요. 고상무, 마부장, 사사장. 직원들과 함께 사무실에서 일해요. 아이스 브레이킹할때 이 녀석들이 역할해요. 점심때 선책도 시키고요. 실은 유기견인데요, 입양했어요. 유기견 임시 보호를 했다가 입양 보냈는데 다시 돌아오는 일도 있다보니 3마리나 됐네요. 사하라는 폐가 안 좋아요. 사무실에 마련한 애완견 집에서 잘 안 나와요. 셋 다 신기하게도 짓지 않아요. 칭얼대지도 않아요. 사무실인걸 아는지, 짓거나 하면 사무실에서 키우기 고민이 많았을꺼예요. 하지만 유기견을 다시 내보낼 순 없잖아요.” 애완견들은 인터뷰의 아이스 브레이킹 역할도 한 셈이다.
아이를 맡기는 일은 어떤 재화나 서비스보다 신뢰의 가격이 비쌀 것 같습니다.
예컨대 내가 얼마까지 페이하면서 이모님을 모실까할 때는 그런 접근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제 시작점은 ‘우리 아이를 때리지만 않고 봐주기만 해도 좋겠다’는 거였어요. 즐겁게 안 해줘도, 우리 애가 안 좋아해도 되니까, 그냥 우리 아이를 안전하게만 봐줬으면, 일하러 나간 나 대신에요. 몇시간만 안전하게 봐줬으면, 그렇게 째깍악어를 창업했어요. 왜냐면 사실 그런 분을 찾기도 너무 어려웠거든요. 그러다가 기왕이면 말투도 좋아서 얘가 따라했으면, 지식 수준도 괜찮아서 아이와 대화할때 선한 영향을 미쳤으면 좋겠다고요.
이게 보육이잖아요. 우리가 해결하고자하는 문제가. 거꾸로 묻고 싶을때가 많아요. 주변 사람들에게 10만원 줄테니 남의 얘를 보라고 하면, 안한다는 사람도 많을거예요. 얘보는게 힘드니까요. 그런데 내 얘를 맡길땐 시간당 2만원도 많게 느껴져요. 아이러니하죠.
정부가 국가 예산으로 아이 돌보미 지원 서비스를 하는데, 아쉽게도 이게 왜곡을 부르는 측면도 있어요. 정부 제시 가격은 최저 시급이예요. 수요자는 이 서비스를 활용하면 더 낮은 금액을 내죠. 소득 분위에 따라서 시간당 3000~4000원만 내고도 쓸 수 있죠. 그러다보니 공급자도 최저 시급을 받아요. 시장이 이렇게 형성된 상태니까, 다른 공급자들이 3만원, 5만원 얘기를 하기로 어려운 상황이죠.
제가 풀고 싶은 문제는 보육이예요. 안전하고 맡길 수 있는 보육요. 그런데 제대로된 공급가를 받으려면 교육 프리미엄을 붙여야되는 구조예요. 이 분이 학벌도 좋고 뭘 가르쳐준다고 해야, 시간당 몇만원이 가능하죠. 저희는 수요와 공급이 만족할 만한, 보육과 교육의 중간지점에서 가격 정책을 정하고 있어요.
▶[전문은 가입후 보세요]◀
뉴스레터 [스타트업]에 가입하면 이 기사의 전문은 물론이고 6개월 이상 축적한 콘텐츠 전부와 매주 신규 콘텐츠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커피 한잔의 가격으로 스타트업 현업의 고민을 공유하세요.
아래는 원문에 실린 사진과 그래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