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지분 10.28%를 갖고 있는 국민연금이 27일 오후 수탁자 책임 전문위원회(수탁위)를 열고 LG화학의 배터리 사업 물적분할을 반대하기로 결의했다. 이에 따라 오는 30일 개최가 예정된 LG화학 주주총회에서 배터리 사업 부문 분할 안건이 통과될 지 다소 불투명해졌다.

LG화학 미래기술연구센터 연구원들이 신규 개발한 생분해성 신소재의 물성을 테스트하고 있다./LG화학

당초 업계에서는 LG화학 2대 주주인 국민연금이 배터리 사업 부문 분할에 동의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국민연금의 의결권 자문을 맡고 있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을 비롯해, 세계 최대 의결권 자문사인 ISS, 글래스루이스, 대신지배구조연구소 등 국내외 주요 의결권 자문사들은 LG화학의 물적 분할 안건에 찬성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국민연금이 의결권 자문사의 권고안을 따르는 비율은 거의 90%에 달한다.

국민연금 측은 이날 반대 결의를 발표하며 “(배터리 사업 부문) 분할 계획의 취지 및 목적에는 공감하나, 지분 가치 희석 가능성 등 국민연금의 주주가치 훼손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개인투자자들 역시 분할안에 반대하고 있다. 최근 2차전지 분야가 각광받으며 LG화학의 주가 상승이 이뤄졌는데, 배터리 분야가 분할할 경우 주가 하락의 우려가 나오기 때문이다.

LG화학의 최대주주는 지주회사 LG로 30.06%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어서 국민연금(10.28%)가 2대 주주다. 이밖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38.08%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20%를 기관투자자와 개인투자자가 나눠 갖고 있다. 30일 열리는 주총에서 배터리 부문 분할 건이 통과되기 위해선 출석주주 3분의 2, 발행주식 총수 3분의 1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 국민연금이 분할안에 찬성하기로 결의했다면 무난한 통과가 예상됐지만, 반대를 결의함에 따라 주총 직전까지 치열한 ‘표심 대결’이 펼쳐질 것으로 점쳐진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국민연금이 개인투자자들의 반대 여론을 무시하기 어려웠던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