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기존의 가상화폐 거래 금지 차원을 넘어 '채굴'까지 전면 금지하기로 한 것이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 단계에서부터 틀어막기 위한 것이라고 중국 관영 매체가 분석했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발행하는 경제지 증권시보는 25일 1면에 실은 기자 칼럼에서 "채굴을 타격하는 것은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거래와 투기를 원천적으로 타격하는 데 유리하다"며 '가상화폐 때리기' 여론 조성에 나서고 있다. 사진은 중국 오성기 앞의 가상화폐 비트코인 모형과 가상화폐 채굴을 상징적으로 형상화한 인형의 모습. /연합뉴스

가상화폐 가격이 미국·중국 정부의 규제 방침 발표 이후 급락하며 요동치고 있다. 가상화폐 가격의 급등락은 이 같은 정부 정책뿐 아니라 작전 세력의 가격 조작 때문에 일어나기도 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코인방에 띄우는 허위 정보와 작전 세력들의 자전 거래다.

일부 알트코인(잡코인) 거래소에선 작전 세력들이 자기들끼리 코인을 사고 팔면서 가격을 인위적으로 올리는 일이 수시로 벌어지고 있다. 사전 각본대로 코인을 주고 받으며 가격을 하룻 밤 사이 2~3배나 올리는 것이다. 거래를 하는 척하지만 실제로는 자기들끼리 돈과 주식을 주고 받으며 가격만 올리는 방식이다. 이들은 자전 거래로 코인 가격을 띄운 뒤 다른 투자자들이 들어오면 고가에 팔아치우고 나가버린다.

주식시장에선 이런 자전거래가 당국의 단속 때문에 사실상 힘들다. 이런 거래를 하면 감독 당국이 즉각 파악해 잡아내고 처벌한다. 하지만 가상화폐 거래소에는 금융 당국이 개입하지 않고 있고 실명 거래도 하지 않는 경우가 상당수여서 이런 자전거래를 잡아내기가 힘들다. 코인방에서 허위 정보를 흘리는 작전 세력도 많다. 가상화폐 가격이 떠야 할 이유가 없는데도, 엉터리 정보를 퍼뜨려서 코인을 구매토록 하는 것이다. 이들의 작전에 휩쓸려 피해를 당해도 구제받기 어렵다. 비실명이 많아 누구에게 샀는지조차 알기 힘들기 때문이다.

딱지 코인으로 불리는 잡코인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과 아무 관계 없이 딱지 만들 듯 찍어내는 이런 코인들은 기술적 가치나 희소성이 전혀 없다. 국내에서만 거래되는 이른바 ‘김치코인’ 중에 이런 딱지 코인이 많다. 현재 김치코인은 200개가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일본에서 거래되는 코인 종류가 20~30개인 것을 감안하면 국내 김치코인 열풍은 비정상적이다. 다단계 판매처럼 투자자들을 끌어들이는 코인들도 적지 않다. 주변인을 끌어들여 코인을 사도록 하면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주는 방식으로 전형적인 다단계 사기와 비슷하다.

9월부터는 가상화폐 실명 거래제가 도입되면 대혼란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은행에서 실명 계좌를 발급받은 가상화폐 거래소만 영업을 할 수 있고, 실명 확인이 안된 거래소는 문을 닫게 된다. 현재 은행과 실명 계좌 발급 계약을 한 거래소는 빗썸·업비트·코인원·코빗 등 4곳 뿐이다. 시중은행 대부분은 가상화폐 거래소와 신규로 계약을 맺는데 부정적이다. 은행과 계약 체결을 못하면 200곳이 넘는 가상화폐 거래소 대부분이 문을 닫아야 한다. 이럴 경우 이들 거래소에서 가상화폐를 거래하고 보유해온 투자자들은 자금 회수가 힘들어진다. 9월 이전에 가상화폐를 처분해 현금화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투자자들이 일시에 코인 매각에 나설 경우 거래 자체가 불가능해 질 수 있다. 이른바 ‘뱅크런’ 현상이 벌어지는 것이다. 가상화폐 거래소가 책임져주지 않으면 투자했던 돈을 모두 날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정부가 합리적인 규제책과 함께 피해 대책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일본은 가상화폐 거래소들이 협회를 만들어 투자자 보호를 위한 자율규제를 시행토록 하고 있다. 먼저 형사 사건화할 정도로 커지고 있는 코인 사기에 대한 대응책이 시급하다. 최근 경찰은 가상화폐 TF를 만들었지만, 금융위원회 등을 비롯한 범정부적 기구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일종의 소비자보호원 같은 기능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가상화폐의 성격과 위험성을 알리는 대국민 홍보도 필요하다. 정부 부처들이 서로 책임을 떠넘기면서 대응을 미루다간 9월 이후 ‘코인 대란’이 일어날 거란 우려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