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유럽보다는 늦었지만 국내에서도 코로나 백신 접종이 본격화하면서 항공·여행업종 등이 백신 수혜주로 부상하고 있다. 항공, 여행, 면세점, 카지노 등 여행관련주는 지난해 코로나 사태의 직격탄을 맞아 주가가 급락했지만, 코로나가 끝날 경우 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그만큼 큰 상태다.

지난 한 달 동안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중에서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여행레저’의 수익률이 14.1%로 가장 높았다. 이 ETF는 대한항공의 지주사인 한진칼, 여행사인 하나투어, 호텔과 카지노를 운영하는 파라다이스, 호텔·면세점 사업을 하는 호텔신라 등에 주로 투자하고 있다.

여행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면서 3일 코스피는 3247.43으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달 10일 기록한 종가 기준 최고치(3249.3)를 경신하지는 못했지만, 장중 3258.5까지 오르기도 했다.

일부 여행 관련 기업의 주가는 이미 코로나 이전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하지만 해외여행이나 외국인들의 국내 관광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려면 아직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만큼 무리하게 투자를 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의 목소리도 함께 나오고 있다.

◇코로나 이전 수준 뛰어넘은 항공·여행사 주가

항공사 주가는 이미 날아오르고 있다. 지난 2일 기준 대한항공 주가는 3만3650원으로 코로나 직전인 지난해 1월 중 최고가(2만7850원)를 넘어섰다. 대한항공 지주사인 한진칼의 주가도 7만100원으로 지난해 1월 중 최고가(4만2650원)보다 2만7000원 이상 높은 수준이다. 코로나 사태를 점차 극복하면서 항공 여객이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감과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면서 시너지를 낼 것이라는 예상 속에 주가가 크게 오른 것이다.

저비용항공사(LCC)인 제주항공 역시 3일 주가가 2만6950원으로 전일 대비 0.8% 올랐다. 주가가 올 들어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오른 것이다. 티웨이항공도 2일 주가가 21.3% 오른 데 이어 3일에도 4.9% 오르면서 주가(4210원)가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여름휴가는 캠핑카 타고 떠나볼까 3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2021 코리아 캠핑카쇼’를 찾은 관람객들이 캠핑카를 둘러보고 있다. 오는 6일까지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관련 업체 50곳이 참가해 캠핑카와 루프톱 텐트, 캠핑용품 등을 선보인다. /뉴시스

여행사들 주가는 마치 코로나가 끝난 것처럼 급등했다. 하나투어의 경우 주가가 9만2600원으로 지난해 1월 최고가(5만6900원)보다 높아졌고, 모두투어나 레드캡투어 등도 마찬가지다.

여행과 직결되는 호텔·면세점·카지노 관련주도 호조다. 호텔·면세점 등을 운영하는 호텔신라의 주가는 지난 2일 10만1500원으로 올해 초(8만2600원)에 비해 20% 넘게 올랐다. 카지노 전문업체 강원랜드의 주가 역시 지난 2일 2만9400원으로 올 들어 최고가를 기록했다.

여행 관련주의 강세는 주로 기관 투자자들이 주도하고 있다. 지난달 기관 투자자 순매수 순위에서 대한항공(2260억원)이 3위였고, 호텔신라(1370억원)가 8위였다. 국내 투자자들은 해외 증시의 여행 관련주에도 주목하고 있다. 지난달 숙박 공유 업체 에어비앤비(3779만달러)와 항공기 제작사 보잉(3071만달러)이 각각 순매수 5위와 6위를 차지했다.

◇너무 큰 기대는 금물

하지만 단기 급등한 여행 관련주가 너무 과열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3일 메리츠증권은 하나투어의 적정주가를 7만원으로 제시했다. 종전 6만5000원에서 5000원 올린 것이긴 하지만 지난 2일 종가(9만2600원)보다 24.4% 낮은 수준이다. 메리츠증권은 “전 세계에서 2020년 코로나 전 주가를 상회하는 여행사는 한국 패키지 여행사와 트립닷컴뿐”이라며 “2018년 이후 주가 하락의 이유는 여행객 증가 속에서도 패키지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인데, 코로나 이전 패키지 감소 현상이 2022년 이후 이어질 것이라고 본다”고 했다. 메리츠증권은 “여행산업에 대한 베팅은 국내 여행사보다는 항공이 적합하다”고 했다.

항공업 역시 당장 많은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지난 4월 “항공 수요가 2022년과 2023년에 급등하기는 하겠으나, 2021년에는 2019년의 55% 수준 정도까지만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각국이 자유로운 왕래를 허용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