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금융 당국의 대출 규제로 은행뿐 아니라 증권사들의 대출 금리도 올라갈 가능성이 커졌다. 증권사들은 투자자에게 주식 매수 자금을 빌려주는 대출(신용거래융자)을 하는데 이 대출의 기준이 되는 금리가 올랐기 때문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1개 증권사가 금리 결정의 기준으로 삼는 CD(양도성예금증서) 금리는 지난 26일 한은의 금리 인상 여파로 0.77%에서 0.92%로 0.15%포인트 올랐다. 이 금리는 작년 8월 이후 1년여 동안 0.6~0.7%에 머물렀는데 이번에 크게 뛴 것이다. 증권사들은 CD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 대출금리를 결정한다.
증권사들은 연 5~9%대인 신용거래융자 금리를 자주 바꾸지 않기 때문에 이번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이 즉각 반영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기준금리가 여러 차례 인상되면 신용거래융자 금리도 결국 오를 수밖에 없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금리 인상에 대해 “첫발을 뗐다”며 추가 인상을 예고한 상태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은 오는 11월과 내년 하반기에 한은이 한 차례씩 금리를 더 올릴 걸로 봤다.
개인들의 주식 ‘빚투(빚내서 투자)’가 이어지며 국내 증시의 신용거래융자 규모는 지난 18일 역대 최대치(25조6100억원)까지 치솟았다가 26일 24조4600억원으로 소폭 줄었다. 작년 같은 기간(15조6400억원)보다 56% 급증한 수준이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들은 신용거래융자 이자로만 연 1조8000억원을 부담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역시 역대 최대다. 증권사들은 정확히 추산하기 어렵지만 금리 인상으로 개인들 이자 부담은 더 늘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빚투가 투자 손실을 키울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빚투 비중이 큰 주식일수록 하락장에서 손실이 더 컸다. 신용거래융자 잔액 비율이 상위 20%인 종목들의 주가는 지난 17∼20일 한 주간 평균 9.7% 하락해 하락률이 코스피(-3.5%)의 거의 세배에 달했다. 이는 개인이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샀을 때 주가가 일정 비율 아래로 떨어지면 증권사가 손실을 피하기 위해 주식을 싼값에 강제로 파는 ‘반대매매’가 발생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