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권사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17%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증권사들이 현재의 PF 대출 연체액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부동산 침체가 장기화할 경우, 대규모 연쇄 부실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금융위원회는 12일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부동산 PF 사업 정상화 추진 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금융업권별 PF 대출 연체율(6월 말 기준)을 공개했다. 이 중 증권업계 연체율이 17.28%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둘째로 높은 저축은행이 4.61%였고, 이어 여신전문업계(3.89%), 상호금융(1.12%) 등의 순이었다. 은행의 연체율이 0.23%로 가장 낮았다. 금융권 전체 연체율은 2.17%로 지난 3월(2.01%)보다 0.16%포인트 상승했다. 증권사들의 연체율이 치솟은 것은 부동산 경기가 활황세일 때 중소형 증권사들을 중심으로 고위험 상업용 부동산 PF 시장에 앞다퉈 뛰어들었는데, 부동산 경기가 악화되면서 취약한 사업장부터 연체가 늘었기 때문이다. 2021년만 해도 3%대였던 증권사들의 연체율은 지난해 금리 인상에 따른 부동산 경기 악화 탓에 10%대로 급등했다. 다만 1~3월 증권사 연체율 상승 폭은 5.5%포인트였지만, 4~6월엔 상승 폭이 1.4%포인트로 줄었다.

증권사들의 높은 연체율에 대해 금융 당국은 “크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6월 말 기준 증권업계 연체 대출액은 9000억원인데 업계 전체 자기자본 규모(78조2000억원)에 비하면 1.2%에 불과해서 충분히 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최근 나이스신용평가의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만기 도래 예정이던 5조2000억원의 PF 대출 중 73%가량은 만기가 연장됐다. 증권사들의 부실 가능 익스포저 약 6조원 중 2026년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자산은 매년 약 1조원에 달한다.

한편 금융위는 금융 당국과 금융권이 마련한 PF 대주단 협약 적용을 받는 부실(부실 우려 포함) 사업장은 지난달 말 기준 187곳이라고 밝혔다. 이 중 152곳에 대해선 신규 자금 지원, 이자 유예, 만기 연장 등의 협약이 이뤄져 사업장 정상화가 이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