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정상들이 지난 5월 19일 일본 히로시마에 모여 회의를 하는 모습./뉴시스

G7(7국)이 AI 개발 기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기술 오용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국제 행동 강령을 내놓는다. AI가 본격 도입된 이후 사실상 처음 마련되는 국제 규범으로 향후 한국을 비롯해 주요국이 추진 중인 AI 규제 법안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로이터는 29일(현지 시각) “G7이 30일 AI 관리·보안 강화, 개인정보보호 등 총 11개 항목으로 구성된 AI 국제 행동 강령에 합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행동 강령에는 기업이 AI 위험성을 주기적으로 식별하고 이를 완화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AI 시스템의 성능·제약·오용 사례에 대한 보고서도 공개하도록 했다. 또 AI가 생성한 콘텐츠에는 별도 식별표시(워터마크)를 달아야 하고, AI 해킹을 막기 위해 보안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는 내용도 있다.

그래픽=김현국

그동안 강력한 AI 규제를 마련하자는 유럽연합(EU)과 달리 미국·일본에서는 기업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는 정책 기조를 보이는 등 국가별 입장이 엇갈렸다. 하지만 최근 생성형 AI 도입 이후 가짜 뉴스가 폭증하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자 규제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커졌다. G7 정상들은 지난 5월 히로시마 회의에서 AI 기술을 통제할 국제 규범 마련에 합의하고, 구체적인 규제안을 협의해 왔다. 이번에 G7이 합의한 행동 강령은 강제성은 없지만, AI 기업들의 운영과 각국 정부 규제안의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EU(유럽연합) 관계자는 “G7의 AI 행동강령은 구체적이고 강력한 규제 법안이 만들어질 때까지 AI 안전을 보장하는 가교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다음 달 1~2일에는 영국에서 AI 규제를 위한 첫 AI 안보 정상회의(AI Security Summit)가 열린다. 이 자리에는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을 비롯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가 참석한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 전경훈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 최고기술책임자 등 국내 관계자들도 초청받았다. 주최 측은 중국 알리바바와 텐센트, 중국 최대 과학 싱크탱크인 중국과학원도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를 주도한 리시 수낙 영국 총리는 “기술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더라도, 적절한 감독을 받지 않으면 인류는 AI에 대한 통제권을 완전히 잃을 수 있다”고 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다음 세대의 AI가 등장하기 전에 서둘러 규제를 논의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이번 회의의 목표”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