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오른쪽)과 인스타그램의 로고.

최근의 딥페이크(AI로 만든 정교한 가짜 영상) 범죄에는 소셜미디어(SNS)에 올라온 얼굴 사진이 주로 이용된다. 스마트폰으로 일상 사진을 찍어 페이스북·인스타그램·X(옛 트위터) 등에 올리는 트렌드가 악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일부 중·고등학교 학생회가 소셜미디어의 사진 삭제를 당부하는 공지를 하는 등 ‘SNS 사진 지우기’가 번지고 있다. 경기도의 한 고등학교 학생회는 “텔레그램을 통해 학교 학생의 신상과 합성 사진이 유포되고 있다”며 “SNS에 업로드한 개인 사진들을 내려달라”고 공지했다. 학부모들이 주로 가입하는 한 지역 커뮤니티 사이트에는 27일 ‘카톡 프로필에 올린 아이 사진을 지워야 한다’ ‘아이들 셀카도 친구들과 주고받지 못하도록 단속해야 한다’ 등의 게시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학부모 중에선 자신의 SNS에 올린 자녀들의 사진을 모두 없애는 경우도 많다.

‘SNS 포비아(공포)’가 확산하면서 딥페이크 방지법들도 인터넷에 공유되고 있다. 여기에는 “SNS를 비공개로 전환하더라도 간단한 해킹으로 사진이 유출될 수 있는 만큼 무조건 삭제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대학생 김모(21)씨는 “저장하는 용도로 여행 사진들을 SNS에 올렸는데, 풍경 사진을 제외하고 얼굴이 나온 수백 장을 모두 지웠다”며 “혹시 친구의 SNS에 올라간 내 사진이 유출될지 몰라, 확인되는 대로 지워달라고 친구들에게 요청 중”이라고 했다.

대화방에 올라온 ‘딥페이크 사진’을 삭제하면 증거를 찾기 어렵다는 점도 불안을 키운다. IT 업계 관계자는 “대화방에서 딥페이크 영상을 보기만 한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디지털 포렌식(디지털 증거 추출)해도 흔적을 찾기 쉽지 않다”며 “결국 수사기관이 서버를 뒤져야 하는데, 해외에 있으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했다.

IT 업계에서는 SNS 사진이 범죄에 활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진을 캡처하면 별도의 워터마크(식별 표시)가 박혀 누가 내려받았는지 알 수 있도록 하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