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의 대유행이 세계 경제와 사회에 남긴 상흔은 크고, 앞으로도 지속된다. 21인의 각 분야 전문가가 바라본 2021년에는 ‘회복(recovery)’, ‘반등(rebound)’과 같은 희망적 예측만 있지 않았다.

많은 이들이 신종 코로나로 인해 심화한 양극화(polarization) 현상이 2021년에도 지속하리라고 전망했다. 이언 브레머 유라시아그룹 회장은 “코로나는 경제·정치·사회에 걸친 ‘분열(division)’이라는 근본적 경향을 가속했다”며 “실물경제의 큰 덩어리인 소매업이나 소상공인들의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이를 통해 생계를 유지해온 계층 전체가 사회에서 뒤처지게 될 것”이라고 했다.

신종 코로나 대유행의 상흔으로 인한 불평등과 양극화 역시 올해를 지배할 키워드로 꼽혔다. 지난해 11월 프랑스 리옹에선 정부의 사회적 봉쇄 조치에 반대하는 식당과 소매점 주인들의 시위가 열렸다(왼쪽). 영국 런던에선 코로나로 문을 닫는 가게가 쏟아지고 있다. /AFP·로이터 연합뉴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마이클 스펜스 뉴욕대 교수 역시 “팬데믹은 평균적으로 소득 하위 50% 계층에게 가장 큰 타격을 입혔다”며 “소매업이나 관광업이 입은 타격이 영구적이지는 않겠지만, 아주 더디게 회복할 것이며, 많은 부도와 파산(business failures)이 발생할 것”이라고 했다.

백신 보급 수준에 따라 국가별로도 양극화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앤디 셰 전 모건스탠리 수석경제학자는 “강하고 부유한 나라일수록 먼저 백신을 맞는다”며 “2021년 세계는 백신을 가진 나라와 그렇지 못한 나라로 나뉠 것”이라고 했다. 대니얼 그로스 유럽정책연구소장은 “백신이 보급되면 북유럽 경제가 강하게 회복하면서 관광에 의존하는 남유럽과의 경제적 격차가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했다.

코로나 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눈덩이처럼 불어난 각국의 부채가 앞으로 세계 경제의 뇌관이 되리라는 진단도 나왔다. 국제금융협회(IIF)는 2019년 말 320%였던 세계 국내총생산(GDP) 대비 채무 비중이 작년 말 365%로 치솟았다고 추산했다.

마이크 오설리번 크레디트스위스 수석투자책임자는 “위기 대응을 위해 늘어난 막대한 재정 적자가 3~4년 내에 막대한 부담으로 돌아온다”고 지적했다. 베시 마키 전 미 연방 하원의원도 “엄청나게 불어난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재정이나 통화 정책을 긴축적으로 바꾸면 저성장이 불가피하다”며 “장기적으로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미래학자 제이슨 솅커 역시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 생산성을 높이고 성장을 촉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돈이 보이는 경제 뉴스 MINT를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MINT Newsletter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77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