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BIZ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6096

미국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가 지난 9월에 이어 11월에도 기준금리를 연 5.25~5.5%로 유지했다. 금리 인상이 정점에 도달했거나 가까워졌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높은 수준의 물가와 금리가 얼마나 오래 유지될지에 대해 각국의 투자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필 매킨토스 나스닥 수석 이코노미스트 겸 선임 부사장/나스닥 제공

향후 물가·금리 향방에 대해 미국 증권거래소 나스닥의 필 매킨토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WEEKLY BIZ와 최근 화상으로 만나 “다시 ‘제로 금리’ 시대로 돌아가지는 못하더라도 지금보다는 금리가 낮아질 것”이라며 “한번쯤은 금리가 추가로 오를 가능성도 있겠지만 전체적으로 물가와 금리의 동반 하락이 지속되는 기간이 앞으로 (짧으면) 1년에서 (길게는) 2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김의균

매킨토시 이코노미스트는 지속적인 물가 하락을 예상하는 이유로 “지난해 초부터 전 세계를 덮친 인플레이션을 촉발한 원인이 단기적인 요인이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코로나 사태로 각국 정부가 부양책을 가동해 시중에 돈을 푼 결과 서비스 지출이 늘어 노동력 부족과 임금 상승으로 이어졌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에너지 가격 상승을 초래했지만 길게 지속될 요인들은 아니라는 얘기다.

10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미국이 3.2%, 한국이 3.8%다. 6년 2개월 만에 한미 간 물가 역전이 벌어질 정도로 미국에서는 물가가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매킨토시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의 기준금리가 물가상승률보다 높아지면서 미국에서는 오랜만에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에서 벗어나) 플러스가 됐다”며 “물가 상승률이 지금보다 더 하락한다면 실질금리는 더 높아지기 때문에 연준은 경기가 과열되는 상황을 적절히 제어하면서 금리를 인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경기 둔화 조짐이 나타날 경우 연준이 투자나 소비를 장려하기 위해 금리를 더 빠른 속도로 낮출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매킨토시 이코노미스트는 “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고령화로 중국·유럽에서 생산 가능 인구가 줄어들고 미국에서도 노동 인구 증가가 매우 더뎌진 현상이 물가 하락 요인”이라고 했다. 젊은 인구의 감소가 노동력 부족과 투자·소비의 위축으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그는 “새롭게 주택을 구입하고, 식료품이나 각종 제품을 사는 젊은이들이 줄어들 것”이라며 “상품 수요가 줄어들면 가격은 결국 하락하게 된다”고 했다. 그는 “최근 중앙은행의 물가 목표치를 2%에서 3% 정도까지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지만, 장기적인 인구 구조의 변화에 의해 물가가 자연스럽게 2%까지 내려갈 것”이라고 했다. AI(인공지능)의 발달도 생산 비용을 낮추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매킨토시 이코노미스트는 자유 무역이 쇠퇴하고 있기 때문에 물가를 자극할 만한 위험 요인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했다. 그는 “각국이 지정학적 요인에 따라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니어쇼어링(nearshoring)과 우방국 중심의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건 가격 상승 요인”이라고 했다.

WEEKLY BIZ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6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