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BIZ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6096
안전함을 추구하는가. 올해 코스피의 불안정성, 한국인들의 경제에 대한 우려, 미국 대선의 혼란, 한국 주식시장을 떠나는 개미 투자자를 볼 때 주식 투자 등을 통한 자산 증식과 안전 자산 투자를 통한 자산 보존을 동시에 추구하는 일은 매혹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주의해야 한다. 이는 속이 빈 호떡이나 세계 평화처럼 허상이며, 허구와 상술에 불과하다. 성공적 투자에는 합리적 목표 설정이 필수다. 간단히 말해서, 자산 증식과 자산 보존은 단기적으로 공존할 수 없다.
투자자 대부분에게 자산 보존 전략은 현명한 선택이 아니다. 자산 보존은 포트폴리오 가치가 하락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이는 곧 변동성이 거의 없다는 뜻이다. 하지만 변동성과 손실은 같은 말이 아니다. 1% 상승과 1% 하락은 같은 변동성이다. 하락을 피하려다 보면 훨씬 더 빈번한 상승을 놓치게 된다. 실제로 상승은 하락보다 두 배 더 자주 일어난다.
변동성을 감수하지 않겠다는 것은 1984년부터 현재까지 코스피가 월별로 53.4%, 연도별로는 68.4% 상승을 이뤄낸 것을 놓치는 셈이다. 미국 S&P 500은 그 역사가 더 긴데, 1925년 이래 월별로 63.1%, 연도별로 73.5% 상승(달러 기준)했다.
변동성이 없는 자산 보존은 장기적 수익률이 낮은 현금성 자산과 같다. 한국은 은행 예금 금리가 낮고, 계속 낮아지고 있다는 점을 여러분도 알고 있다. 한국의 10년,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각각 3.01%와 2.90%에 불과하다. 여기에 자산 증식은 없다.
인플레이션도 영향을 준다. 한국의 연평균 인플레이션율은 2003년 이래 2.4%를 기록했다. 8월에도 전년 동기 대비 2.0% 올라 수익률을 잠식했다. 미국도 10년,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각각 3.75% 4.10%이고, 이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장기적 평균인 3.5%와 비슷하다. 8월 CPI는 전년 동기 대비 2.5% 올랐다. 따라서 자산 보존과 증식은 단기적으로 양립할 수 없다. 성장을 원한다면 변동성을 감수해야 한다. 아니면 더 낮은 수익률을 추구하면서, 낮은 이율과 예산으로 목표를 수정해야 한다.
하지만 좋은 소식도 있다. 장기적으로 따져보면 자산 증식을 추구하는 게 오히려 자본을 보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 주식은 가끔 단기적으로 하락했지만, 1925~2023년을 20년씩 끊어서 따져보면 한 번도 하락한 적이 없고, 오히려 달러 기준 평균 806%라는 엄청난 평균 수익률을 기록했다. 코스피 역시 1984년 이래로 20년씩 끊어서 수익률을 따져보면 마이너스를 기록한 적은 없다. 수익률은 달랐지만 배당금을 제외하고도 원화 기준 평균 258%라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역사가 반드시 반복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윤 추구 동기가 유지되는 한 주식은 장기적인 성장을 이룰 것이다.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하면 성장을 누리면서 자산을 보존할 수 있다.
WEEKLY BIZ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6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