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중국에 자국의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우려, 현재 보유 중인 1000개의 드론을 모두 일본산 제품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요미우리 신문은 30일 “(일본) 정부가 각 성청(省廳) 등이 보유한 1000대가 넘는 드론을 원칙적으로 높은 보안 기능을 갖춘 신기종으로 대체하기로 했다”며 “이는 안보 차원에서 중국산 드론을 사실상 배제하겠다는 의도”라고 보도했다.
원격조종되는 드론은 촬영 사진, 비행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중국의 사이버 공격에 의한 드론 정보 절취나 기체의 탈취 등의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 일본산으로 모두 교체한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올 초 방위성이나 경찰청 등 안보 분야를 제외한 성청(省廳)에서 보유 중인 드론을 전수 조사했다. 그 결과 대부분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중국 대기업 DJI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중에는 적외선과 고성능 레이더를 탑재, 댐과 하천의 인프라 관리 및 3D 지도를 위한 측량 업무 등에 활용하는 것도 있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요미우리 신문에 “만약 제3자에게 드론을 빼앗기면 테러나 범죄에 악용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각 성청이나 정부 기관이 새롭게 드론을 도입할때는 총리 관저가 직할하는 ‘내각관방(內閣官房)’에 사전에 협의할 것을 의무화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산 제품은 완전히 걸러낸다는 계획이다. 스가 내각은 NTT도코모, 야마하 발동기 등 5개 업체가 연합해 개발중인 고품질의 드론을 내년부터는 정부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일본 정부의 중국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배제 정책의 일환이다. 일본은 트럼프 미 행정부에 보조를 맞춰 정부 성청의 ICT 장비를 조달하는 과정에서 중국 업체 화웨이와 ZTE의 제품을 배제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요미우리 신문은 “일본 정부는 (드론 등에 대한) 미국의 대응을 참고해 DJI기종의 대체를 진행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도쿄=이하원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