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이 티베트 승려들을 24시간 감시하기 위해 사원 내부까지 공안(경찰)과 방범카메라(CCTV)를 배치했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16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칭하이성 궈러 티베트자치주의 팔율 수도원에 중국 공안 감시대가 설치돼 수도원 내부에서 활동 중이다. 또한 올해 초 추가적으로 마을회관 근처에 있는 수도원 건물 안에도 공안 감시대가 배치됐다. 이는 티베트 불교 시설에 대한 더욱 강력해진 탄압의 일환으로, 승려와 수도승의 그들의 일상 생활을 면밀히 감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RFA는 전했다.
중국 당국은 공안 배치뿐 아니라 수도승들을 24시간 감시하기 위해 수도원 내부에 CCTV를 설치하고, 모니터링 요원을 뒀다. 또한 수도승들의 대화를 감시하고 추적하기 위한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했다. 망명 중인 한 티베트인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스마트폰에 설치한 앱 때문에 수도승들이 망명 중인 티베트인들과 교신하는 것이 안전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중국 당국은 젊은 티베트 수도승들에겐 중국 정부가 운영하는 학교에 다니라고 압력을 넣고 있다.
2008년 독립을 요구하는 티베트인들의 대규모 봉기 이후, 중국 정부는 티베트 수도 라싸 인근의 사원과 수도원 근처에 경찰서와 중국군 병영을 설치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공안이 수도원 안쪽까지 배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RFA는 전했다.
현재 중국에서 정치범으로 지목돼 스위스에 망명 중인 티베트 출신의 한 인권운동가는 중국 당국이 티베트인들의 스마트폰에 위치추적 앱 설치를 요구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티베트인들이 중국 정부의 감시 하에 있는 건 틀림 없다”면서 “최근 티베트인에 대한 감시는 더욱 강화됐고 휴대폰 앱을 설치를 요구하는 식의 새로운 감시 수단이 도입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 앱을 통해 티베트인들의 스마트폰 데이터와 대화에 대한 중국 당국의 접근성은 전례 없이 강화됐다고 했다. 또한 다수의 티베트인들이 휴대폰을 압수당하기도 하고, 심문, 협박, 감금, 처벌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