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명문 대학들이 지원자 가족 중 동문이 있을 경우 입시에서 가산점을 주는 동문 우대 전형을 더 이상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최근 보도했다. 소수 인종 대입 우대 정책이 특혜 논란으로 존립이 위태로워지면서 동문 우대 전형의 방어 논리까지 덩달아 위협받고 있다는 것이다. 아이비리그(미 동부 명문 사립대)에 속한 하버드대와 예일대의 경우 최근 신입생 약 14~15%가 동문 우대 전형을 통해 입학했다. 그러나 이 제도는 10월 이후 진행될 소수 인종 우대 정책 폐지 여부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심리를 앞두고 위기를 맞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하버드경영대학원 전경.

소수 인종 우대 정책은 지난 1961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인종·성별·종교·장애 등의 이유로 불리한 입지에 있는 사람들에게 혜택을 부여, 차별을 줄이기 위해 처음 시행됐다. 이후 입시·취업·승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지난 2014년 ‘공정한 입학을 위한 학생들’(SFFA)이란 단체가 “흑인과 히스패닉 등 소수 인종을 배려한 우대 정책 때문에 성적이 우수한 아시아계 학생들이 역차별을 받고 있다”며 하버드와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를 상대로 폐지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1심과 2심은 기각됐으나 지난 1월 보수 절대 우위로 재편된 연방대법원이 심리 대상에 올리면서 1·2심이 뒤집힐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대법원이 소수 인종 우대 정책을 철폐한다면 역시 특정 계층을 위한 특혜의 성격이 있는 동문 우대 전형 역시 오래가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사회의 전통적 주류이자 상류층인 개신교도들은 자신들의 영역으로 여겼던 엘리트 사립대학에 1920년대부터 유대인과 가톨릭 신입생이 크게 증가하자 위기 의식을 갖고 다양한 기여 입학 전형을 도입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동문 우대 전형이었다. 이 제도는 부유하고 학맥이 탄탄한 백인 가정 학생들에게 유리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현재 미국 사립대의 42%, 공립대 6%가 입시에서 동문 우대를 포함한 각종 기여 입학제를 운영하고 있지만, 비판 여론 때문에 이를 폐지하는 대학도 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