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 등에선 남성 속옷 매출을 경기 침체를 판단하는 비공식적 지표로 참고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수입이 줄면 가계가 가장 먼저 소비를 줄이는 항목에 남성 속옷이 있기 때문이다. /게티이미지

오는 21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또다시 급격한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시장은 “고강도 긴축이 미 경제를 침체에 빠뜨릴 수 있다”고 우려하지만 연준 고위 인사들은 “미 경제는 매우 견실해 긴축을 견딜 수 있다”며 개의치 않는 모습이다.

연준의 판단 근거로 고용·소비·성장률 등 여러 거시 지표가 있지만, 비공식적으로 들여다보는 모델 중 하나인 ‘남성 속옷 매출 지표(MUI·Men’s Underwear Index)’가 견고하기 때문이란 말이 월가에서 나온다. MUI는 특정 기관이 공식 집계·발표하는 지표는 아니다. 단순히 남성 속옷이 이전보다 잘 팔리는지 아닌지 보는 수치인데 이 지표를 보면 침체 여부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15일(현지 시각) 상무부는 8월 미 소매 판매가 감소했을 것이란 예상을 깨고 전월 대비 0.3% 늘었다고 발표했는데, 특히 의류가 0.4% 늘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3.7% 증가했다. 남성 속옷도 이 항목에 포함돼있다.

미국 뉴욕의 한 매장에서 할인 판매 중인 남성 속옷. 남성 속옷은 가격의 높고낮음에 관계 없이 매출이 일정,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낮은 생필품이다. 그러나 심각한 침체 조짐이 있으면 갑자기 매출이 떨어지는 독특한 품목이다. /US뉴스

남성 속옷은 휴지나 칫솔처럼 가격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매우 낮은 생필품이다. 경기나 물가에 상관없이 소비량이 일정하다. 그런데 심각한 침체가 닥쳐올 땐 갑자기 매출이 떨어지는, 불황기 ‘탄광 속 카나리아’ 같은 품목이라고 한다. 실제 2008년 금융 위기 때 MUI가 5% 급락했고,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봉쇄 초기에도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 그때마다 연준이 제로(0) 금리에 돌입했다.

'통화 정책의 마에스트로'로 불렸던 앨런 그린스펀 전 미국 연준의장. 연준 내에 사실상 '남성 속옷 매출 지표(MUI)'를 도입해 금리 결정에 참고하도록 한 인물로 알려져있다. /연준 홈페이지

구조 조정 바람이 불거나 수입이 줄면 통상 가장인 남성들이 가장 먼저 소비를 중단하는 게 속옷이라고 한다. 1987~2006년 연준의장을 지낸 앨런 그린스펀은 실물 경제를 자세히 분석해 금리에 반영하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퇴임 후 “남성 속옷 매출은 침체 예측에 틀림이 없다”고 말한 적 있다. 그는 “살림이 어려워도 아이들은 커지니 옷을 사줘야 한다. 아내들도 남자들도 ‘사교적’인 겉옷은 필요하다. 그러나 남자는 아내에게든 탈의실의 다른 남자에게든 구멍 난 팬티를 내보여도 개의치 않는다. 의복 중 가장 사적인(private) 것이 남성 속옷”이라고 했다. 그린스펀 전 의장은 이외 ‘드라이클리닝 업소 매출’도 침체 지표로 중시했다고 한다.

불황이 오면 여성들이 저렴하게 외모를 꾸밀 수 있는 립스틱을 사고, 치마 길이가 짧아진다는 통설이 있지만 요즘은 잘 맞지 않는다고 한다. 산업 공정에 필수적인 구리, 축하 이벤트에 쓰는 샴페인 매출이 줄어든다든가, 불안한 시기 ‘짝짓기’ 욕구가 높아져 온라인 데이팅앱 가입이 급증한다는 지표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