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은 코로나 발생 초기 유럽에서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낼 정도로 큰 피해를 겪었다. 이후에도 알파와 델타 등 각종 변이가 반복해 창궐하면서 피해가 거듭됐다. 코로나가 중반을 넘겨서 오미크론 때 확 커졌던 우리나라와는 사뭇 다른 형태였다.

중국 우한에서 기원한 코로나가 전 세계로 퍼진 2020년 상반기 영국은 직격탄을 맞았다. 2020년 4월 일일 사망자가 1000명을 넘어 1400명대까지 치솟았다. 그해 여름에 잠잠했다가 가을부터 다시 치솟기 시작, 2021년 1월 한 달간 일일 사망자가 또 1000명을 넘었다. 백신이 없던 코로나 초기 불과 10개월여 만에 두 차례에 걸쳐 ‘V’ 자 코로나 폭증 사태를 맞은 것이다. 당시 영국의 인구 대비 코로나 사망자는 미국의 2~3배에 달했다. 국영 의료 체계인 영국이지만, 병원 응급실에 환자가 몰리고 요양원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면서 사망자가 속출했다. 보리스 존슨 전 총리도 2020년 4월 코로나에 감염돼 확진 열흘 만에 중환자실에 들어가기도 했다.

영국 정부는 코로나 사태 초기 ‘집단면역’과 ‘봉쇄’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다가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을 받았다. 영국은 당시 ‘집단면역’을 적용할 경우 인구 26만명이 사망한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받고 조기에 철회했으나, 그만큼 거리 두기로 이행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이후 영국은 전 국민 자택 격리, 필수 업종 이외 영업 금지, 학교·직장 폐쇄 등 강력한 봉쇄 정책에 돌입했다. 영국은 2020년 12월 세계 최초로 화이자 백신을 승인했고, 자체적으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도 개발했다. 다른 선진국들처럼 2021년 중반엔 1차 접종률이 60%를 넘었다. 하지만 이후에도 인도 등지에서 델타 변이가 유입돼 빠르게 확산했다.

영국은 백신 접종률 등에 기반한 ‘위드(with) 코로나’ 전략을 채택, 비교적 이른 시기에 봉쇄를 풀었다. 이후에도 상당한 규모의 감염이 반복됐지만, 영국 내에선 “장기 봉쇄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더 크다”는 논란도 만만치 않게 제기됐다. 미 존스홉킨스대와 스웨덴 룬드대 공동 연구팀은 지난 5일 “당시 영국의 가혹한 봉쇄 조치는 코로나 사망률에 미미한 영향을 미쳤다”며 “(치러야 했던) 대가에 비해 (봉쇄 효과는) ‘양동이의 물 한 방울 수준’ 정도”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