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강제징용 배상 문제 해법을 발표하며 한일 관계 정상화에 시동을 걸자 중국이 경계하고 있다. 한·일이 갈등을 끝내고 공조를 강화하면 미국 주도로 한·미·일 대중(對中) 압박 전선이 형성될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이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6일 “(한국의 방안은) 일본과 미국의 환영을 받을 뿐 한국 내에선 역사 배척으로 비판 받는다”며 “윤석열 정부의 해법은 결국 미국 정부가 추진한 것이고, 미국은 계속해서 한·일 양국에 압박을 가해 양측이 화해하도록 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환구시보 인터넷판은 7일 “한일이 화해 분위기로 흘러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했다. “한국 야당과 여러 시민단체가 한국의 강제징용 배상 문제 해법을 비판하고 반대한다”고도 강조했다. 인터넷 매체 자커는 “한국이 갑자기 일본에 올리브 가지(화해의 상징)를 내밀었다”면서 “미국은 양대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의 갈등 해소로 미·일·한 관계를 빠르게 강화하며 동방대국(중국)을 상대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중국 외교부도 한국 정부의 해법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마오닝 외교부 대변인은 6일 “강제징용과 노역은 일본 군국주의가 대외 침략과 식민 통치 기간에 중국과 한국 등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 사람들에게 저지른 심각한 인도주의적 죄행”이라며 “일본 측은 역사를 직시하고, 역사를 반성하며, 실제 행동으로 역사적 범죄에 대한 참회와 피해자 존중을 보여줘야 한다”고 했다. 친강 중국 외교부장은 7일 베이징 미디어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일본이 이린위학(以隣爲壑·이웃에게 재난을 떠넘긴다)하고, 중국을 억제하는 신냉전에 참여한다면 양국은 옛 상처가 아물기 전에 새로운 아픔을 얻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유럽 국가들을 단결시킨 것처럼, 중국의 군사력 부상에 맞서 태평양 일대에서 (한·일 등) 미국의 친구들끼리 동맹을 강화하고 있다”고 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중국·북한의 밀착과 늘어난 안보 위협을 의식해 한국이 일본과 세계 2차 대전 시대의 논쟁을 끝내기로 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