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8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 인근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한미일 정상 오찬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대통령실

한·미·일 정상이 18일 미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회담을 열고 안보 협력 강화에 합의하자 중국 관영 매체가 “캠프 데이비드에서 발산한 냉전의 기운에 전 세계가 한기(寒意)를 느끼고 있다”고 비판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 20일 ‘신화시평(新華時評)에서 “미국, 일본, 한국의 정상이 회담을 갖고 3국의 군사 등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공언하며 의도적으로 ‘중국 위협’이란 거짓말을 퍼트리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 주도로 3국은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지정학적 ‘작은 패거리’를 만들었다”면서 “3국은 표면적으론 ‘안보 수호’를 명분 삼았지만 실제로는 각자의 목적을 위해 서로를 이용한다”고 했다. 또 한·미·일 정상회담에 대해 “지역의 전략적 안보를 해치며 아시아·태평양의 평화·안정·번영을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화통신은 이어 “미국이 한국과 일본을 끌어들여 안보 협력을 추진한다는 것은 양국의 안보를 도외시하고 위험한 지경에 이르게 하는 것”이라며 “한일에 ‘안정감[安全感]’을 주기는커녕 지역의 안보 위험을 높이고 긴장을 조성해 궁극적으로 한일에 피해를 끼칠 것”이라고 했다.

또 “한반도 긴장 국면이든 터무니없는 소위 ‘중국 위협론’이든 모두 미국의 선동과 조장과 관련이 있다”면서 “지역 안보에 대한 진정한 위협은 사실상 미국”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이 인도·태평양 전략을 강력히 추진하는 것은 지역의 효과적인 협력 구조를 파괴하고 수십 년 동안 지역 내 각국이 공동으로 구축한 평화 발전의 흐름을 파괴할 것이라는 주장도 했다. 아울러 한국 매체의 보도를 인용해 “미국이 조장하는 신냉전에 한국이 휘말리면 한반도 주변의 안보 위험이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고, 한국의 안보는 더욱 불안정해질 것”이라고 했다.

신화통신은 평론 말미에 한국을 ‘미국 패권의 바둑돌’이라고도 표현했다. “미국은 아시아·태평양을 교란하려는 시도를 포기하길 바라고, 한국과 일본은 미국 패권의 바둑돌이 되지 않길 바란다”면서 “지역의 절대 다수 국가의 반대편에 서지 말고, 역사의 잘못된 한 편에 서지 말라”고 했다.

앞서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정례 브리핑에서 한·미·일 정상회의 관련, “전란으로 뒤엉킨 국제 안보 정세 앞에서 각국은 안보 공동체 이념을 지키고 진정한 다자주의를 견지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미국을 겨냥해 “그 어느 나라도 다른 나라의 안보 이익을 희생하거나 지역의 평화·안정을 훼손하는 대가로 자신의 안전을 지켜선 안 된다”고 했다. 아울러 “과연 누가 (세계에서) 대립을 만들고 긴장을 고조시키는가. 국제 사회가 알아서 판단할 것”이라면서 “각종 배타적인 작은 패거리와 소집단을 규합하고, 진영 대결과 군사 집단을 아시아·태평양으로 끌어들이려는 시도는 민심을 얻을 수 없고 필연적으로 지역 국가의 경계와 반대를 불러올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