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오프닝(코로나 후 경제 활동 재개)에도 경제 회복이 더뎌 침체 우려가 컸던 중국의 생산·소비 지표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반등했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달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4.6% 늘어난 3조7933억위안(약 693조원)을 기록했다. 4월(18.4%)·5월(12.7%)에 비해 증가율은 낮지만, 6월(3.1%)·7월(2.5%)보다는 높아졌다. 로이터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3.0%)와 비교해도 높은 수치다. 소매판매는 백화점·편의점 등 소매점 판매 추이를 나타내는 지표로 내수 경기의 가늠자 역할을 한다.
공장·광산·공공시설 등의 생산량을 나타내는 산업생산도 전년 동기 대비 4.5% 늘며 전월(3.7%) 및 기대치를 웃돌았다. 로이터 전망치는 3.9%였다. 산업의 ‘체력’을 보여주는 산업생산은 고용·소득 등에 시차를 두고 반영된다.
지난달 실업률은 5.2%를 기록해 전월치 및 전망치(모두 5.3%)보다 낮았다. 사상 최고치로 치솟으며 경기 침체 우려를 키웠던 청년실업률을 파악할 수 있는 연령대별 실업률은 7월에 이어 공개하지 않았다. 중국은 지난 6월 청년 실업률이 사상 최고치인 21.3%를 기록하자 7월부터 통계 발표를 중단했다. 15일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이 지난 4월 4000여 명의 대학 졸업 예정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8%가 ‘만취업(慢就業·취업 시기 늦추기)’을 선택했다고 답했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가 개선되고 최악의 경제 하강 국면을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중국의 부동산 시장 침체가 지속되고 있고, 투자와 고용이 살아나지 않아 경제 회복엔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주요 70개 도시의 8월 신규 주택 가격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0.29% 내려갔다. 지난 6월(-0.06%), 7월(-0.23%)에 이어 하락세를 이어간 것이다.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계속되면서 공장·도로·전력망·부동산 등 자본 투자의 변화를 보여주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전년 동기(1~8월 누적 기준) 대비 3.2% 증가에 그쳐 시장 전망치(3.3%)보다 낮았다.
중국은 올해 들어 대형 건설사 부실이 초래한 부동산 위기가 금융권과 지방정부까지 번지며 침체 우려가 커져 왔다. 최근 들어 중국 지도부가 잇달아 내놓는 경기 부양책이 얼마나 큰 효과를 발휘할지가 관심사다. 글로벌 금융기관 맥쿼리그룹 등은 지난 11일 보고서에서 올해 7월 열린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 이후 중국이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들을 내놓고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 정부는 가전·가구·자동차 등 상품 소비 촉진책을 내놓고, 대도시 주택 구입 요건을 대폭 완화했다. 또 대출 규제와 대도시 주택 구입 요건 등 부동산 관련 규제를 계속해서 완화하고, 특별 지방채 발행을 허용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5일 금융기구 지급준비율을 0.25%포인트 낮추며 시중에 돈을 풀었고, 지난달 21일에는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1년 만기 대출 우대금리(LPR)를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