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터넷 규제 당국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가짜 뉴스와 과장 광고 등을 처벌하는 내용의 생성형 AI 단속 지침을 발표했다. 바이두의 ‘어니봇’, 알리바바의 ‘퉁이첸원’ 등 ‘중국판 챗GPT’를 지향하는 토종 서비스가 300개에 육박할 정도로 생성형 AI 시장이 커지자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중국의 생성형 AI 시장 규모가 14조4000억위안(약 266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지난해 말 추정했다.
15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은 이날 “생성형 AI를 이용한 콘텐츠 표시를 규범화하고, 대중이 오인하거나 오해할 수 있는 생성형 AI 콘텐츠를 삭제할 것”이라고 했다. 또 “생성형 AI 기술로 가짜 뉴스와 과장된 상업 정보를 제작하는 불법 계정을 징계하겠다”고 했다.
지난해 8월 생성형 AI 단속을 위한 큰 틀의 지침을 내놓은 중국 당국이 이번 발표에서 빅테크 업계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왕펑 베이징 사회과학원 부연구위원은 “올해 중국의 AI 산업은 상당한 발전을 이룰 것”이라며 “AI 기술의 책임 있는 사용을 보장하고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규제 정책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고 했다.
중국 당국은 토종 AI 기술 발전을 독려하는 동시에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도록 관리·감독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챗GPT를 필두로 미국의 생성형 AI 서비스가 세계 AI 산업을 재편하는 상황에서 발 빠른 대응에 나서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2035년에 생성형 AI는 전 세계에 90조위안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이고, 그중 중국의 기여가 3분의 1 이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리창 총리는 지난 5일 중국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兩會)의 일환으로 마련된 정부 업무 보고에서 ‘AI 플러스(+)’라는 이름의 AI 산업 육성책을 최초 공개했다. 2010년대 들어 인터넷을 산업 전(全) 영역에 도입하는 ‘인터넷 플러스’라는 개념을 제시했던 중국이 AI 청사진을 내놨다는 평가가 나왔다.
일각에서는 중국 당국의 촘촘한 AI 단속이 자국 기술의 개발과 상업적 적용을 제한하는 역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저속한 AI 콘텐츠를 단속한다는 명목으로 인터넷 여론 통제에 대대적으로 나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