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을 앞두고 중국 검열 당국의 손이 바쁩니다. 민간 경제 전문가들이 “경제 실상이 정부 통계보다 훨씬 더 나쁘다”고 발언한 내용이 인터넷 언론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빠른 속도로 확산하자 관련 글과 영상을 지우느라 분주하다고 해요.
중국은 12월11일부터 이틀간 시진핑 주석 주재로 내년 성장률 목표와 경제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 회의를 앞두고 중국 경제에 대한 비관론이 확산하는 걸 막으려는 조처로 보여요.
해외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강연 원고를 보니 중국 당국이 긴장할만한 내용이었습니다. 국유 금융사인 궈터우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 가오산원(高善文)은 “지난 3년간 중국 경제성장률이 매년 3% 포인트씩 모두 10% 포인트 고평가됐다”고 했습니다. 작년 중국이 발표한 성장률이 5.2%였는데, 실제로는 2.2% 정도라는 거죠.
푸펑(付鵬) 둥베이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지난 2년간 우버 기사가 2000만명 늘었다“면서 ”중산층 몰락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했습니다.
◇“성장률 통계, 소비·투자 추이와 어긋나”
가오산원은 12월3일 광둥성 선전에서 열린 2025년 투자전략설명회 강연에서 올해 중국 경제 상황을 분석했어요.
그는 중국 경제의 현 상황을 ‘생기 넘치는 노년층, 의기소침한 젊은 세대와 희망을 잃은 중년층’으로 요약했습니다. 노년층은 예측 가능한 노령연금에 기대 안정적인 소비 생활을 하는 반면, 일자리가 없고 미래 수입 증가에 대한 희망도 잃은 청년층은 먹을 것, 입을 것을 절약해가며 근근이 버틴다는 거죠. 중국 31개 성시(省市·성 및 직할시) 통계를 보면 젊은 층 비중이 높은 곳일수록 소비 증가율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그는 2020년 부동산 거품 붕괴가 시작된 이후 정부가 발표한 3년간의 성장률 통계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어요. 도시 취업 인구 추이, 투자 증가율, 물가지수 변화 등과 앞뒤가 맞지 않다는 겁니다. 2020년 코로나 19 팬데믹이 시작되기 전까지만 해도 중국은 소비·투자 증가율과 경제 성장률이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고 해요. 하지만 지난 3년간은 정부 발표 성장률이 소비 증가율이나 투자 증가율보다 훨씬 더 높다고 합니다.
◇실업 인구 4700만명으로 추정
가오산원은 이런 분석을 근거로 지난 3년간 매년 성장률이 3% 포인트씩 고평가됐으며, 그 수치를 합치면 10% 포인트에 이른다고 했어요. 정부 발표 수치에서 매년 3% 포인트를 빼야 소비·투자 증가율과 추이가 비슷해진다는 겁니다.
취업자 숫자에 대해서도 비슷한 분석을 했어요. 중국 도시 취업인구는 코로나 19가 시작된 이후 급격히 줄었다가 제로 코로나 방역 정책이 끝난 2023년 회복되기 시작했는데, 아직은 장기 증가 추세에 들어맞을 정도로 늘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추산하면 4700만명이 제대로 된 일자리가 없는 실업자라는 게 그의 분석이었어요. 이는 2023년말 현재 중국 도시 취업인구(4억7000만명)의 10%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가오산원은 중국 내에서 손꼽히는 거시경제 전문가로 국무원(정부) 발전연구센터 금융연구소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인물입니다. 리커창 총리 재임 당시 총리 주재 전문가 좌담회에도 자주 참석했어요.
◇“일본처럼 잃어버린 35년 온다”
푸펑 이코노미스트는 11월24일 HSBC 프라이빗뱅크 주최로 상하이에서 열린 한 강연에서 한 발언이 문제가 됐습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중국 경제는 인구 고령화 등으로 인해 코로나 19 이전인 2019년부터 이미 구조적인 수요 부진 주기에 진입했다”면서 “내수 부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중국도 일본처럼 ‘잃어버린 35년’에 직면할 수 있다”고 했어요.
그는 “지방 현장으로 조사를 나가 보니 지난 2년간 우버형 택시 기사가 갑자기 2000만명이나 늘었는데, 이들은 어디서 온 것이냐”면서 “답은 중산층의 몰락”이라고 했습니다. 부동산 거품 붕괴, 대규모 실업, 월급 하락 등으로 몰락한 중산층이 생계를 위해 우버 택시 기사와 배달 기사 쪽으로 몰린다는 분석이었어요.
푸펑은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봤습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는 4조 위안의 대규모 경기 부양책이 유효 수요를 창출하면서 효과를 봤지만, 지금은 빚을 내 인프라를 건설하는 방식으로는 더는 소비를 끌어올릴 수 없다고 했어요. 성장의 시기가 저물어가는 만큼, 분배에 초점을 둬야 한다는 얘기도 했습니다.
◇시 주석 “빈곤층 해소” 주장도 비판
12월7일에는 중국 경제지 경제관찰보가 “중국의 저소득층 규모가 약 9억명에 이른다”고 보도했어요.
노동경제 전문가인 리스(李實) 저장대 공유발전연구원 원장은 이 신문 인터뷰에서 “중산층 소득 수준에 이르지 못한 저소득층이 전체 인구의 65%로 약 9억명인 것으로 추산한다”고 했습니다.
중타이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리쉰레이도 작년 말 “2021년 기준으로 월수입 2000위안(약 40만원) 이하인 인구가 9억6400만명에 이른다”는 글을 한 경제지에 기고했다가 삭제하는 소동이 있었죠. 시진핑 주석이 빈곤층 해소를 자신의 치적 중 하나로 꼽는데, 전문가들이 이를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선 겁니다.
최유식의 온차이나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81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