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인도 남성이 코로나 대응책으로 몸에 소똥을 바르는 '소똥 치료'를 한 뒤 소를 만지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코로나 바이러스가 크게 확산하고 있는 인도에서 일부 힌두교도들이 소똥을 몸에 바르는 등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을 코로나 예방책으로 사용하고 있다. 의학계에서는 “다른 질병이 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11일(현지 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의 일부 힌두교도들은 매주 한 번씩 인근 축사를 찾아 소의 똥과 오줌을 온몸에 바른다. 힌두교는 소를 생명과 대지를 상징하는 성스러운 동물로 생각한다. 소똥에 소독·치료 효과가 있다고 믿는다.

한 인도 남성이 코로나 대응책으로 몸에 소똥을 바르는 '소똥 치료'를 한 뒤 기도를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소똥을 몸에 바르는 것도 코로나에 대항할 면역력을 높이거나, 병을 치료하려는 의도다. 이들은 소의 똥과 오줌을 몸에 바른 뒤 이것이 마르기를 기다리면서 소를 껴안기도 한다. ‘에너지를 끌어올리기 위해’ 요가도 한다. 소의 분뇨는 우유나 버터밀크로 씻어낸다.

한 제약사의 부사장인 가우탐 마닐랄 보리사는 “의사들조차 여기 온다”며 “그들은 이 요법이 면역력을 키워준다고 믿는다”고 했다.

인도의 성인 남성들이 코로나 대응책으로 몸에 소똥을 바르는 '소똥 치료'를 한 뒤 기도를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하지만 의학계에서는 “소똥과 오줌을 몸에 바르는 것은 다른 질병을 퍼트릴 위험이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JA 자이알랄 인도의사협회장은 “소의 똥이나 오줌이 코로나에 대한 면역력을 높여준다는 구체적인 과학적 증거는 없다”며 “순전히 신념일 뿐”이라고 했다. 그는 “소의 똥과 오줌을 몸에 마구 바르면 다른 병이 동물에서 사람으로 퍼질 수도 있다”며 “이런 행위를 당장 그만둬야 한다”고 했다.

한 인도 남성이 코로나 대응책으로 몸에 소똥을 바르는 '소똥 치료'를 한 뒤 우유로 몸을 씻어내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인도 보건·가족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기준 인도의 코로나 신규 확진자는 32만 9942명이다. 누적 확진자는 2299만 2517명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