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 10주기인 17일 평양 금수산태양궁전에서 진행된 중앙추모대회에 참석했다. /조선중앙TV 연합뉴스

북한의 ‘해커 부대’가 북한의 핵 개발 자금뿐만 아니라 경제까지 지탱하는 등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정권 유지 수단이 되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21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제재로 마비된 북한 경제에 사이버 범죄가 생명줄이 됐다”며 이같이 전했다.

매체는 미국 사이버보안·인프라 보안국(CISA)을 인용해 세계 모든 은행이 북한의 사이버 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고 했다. 또한 북한이 강대국의 국방 기밀을 훔치고, 랜섬웨어로 자금을 빼내며, 가상화폐를 가로채거나 범죄 수익을 가상화폐로 ‘세탁’하는 등의 사이버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어 미국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조사 결과를 인용해 김정은 정권이 사이버 범죄로 취득한 부정 수익이 이미 23억 달러(약 2조 7000억원)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미국 국가정보국(DNI)은 올해 기밀 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과 같은 ‘최우선 정책’에 사이버 범죄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고 봤다. 또 북한은 “미국의 핵심 시설과 기업의 네트워크를 일시적, 제한적으로 멈출 수 있을 정도의 사이버 전력을 갖고 있다”고 했다.

북한은 암호화폐를 탈취하기 위해 ‘애플제우스(AppleJeus)’라는 악성코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2018년부터 30개국에서 여러 버전의 애플제우스가 사용됐으며, 유엔과 미국의 조사 결과 2019년부터 2020년 11월 사이 북한 해커들이 이 프로그램으로 빼낸 가상화폐 자금만 3억 1640만 달러(약 3800억원)에 이른다.

국제 제재로 북한이 석탄 수출로 벌어들일 수 있는 돈이 연간 4억 달러(약 4800억원)로 제한돼 있는 점을 고려하면, 사이버 범죄에 대한 북한의 의존도가 커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탈북민 출신의 강미진 NK투자개발 대표는 “김정은 위원장은 해커 부대가 자신의 생존에 필수라고 본다”며 “해커들은 자신이 하는 일이 김정은 정권의 운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북한 해커 부대의 활동이 날로 과감해짐에 따라 미국은 2016년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에서 8100만 달러(약 965억원)를 탈취하는 등의 범죄에 연루된 사람들 중 북한 해커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추적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블룸버그는 북한의 인터넷, 휴대전화 등의 보급률이 낮고, 국가의 후원 하에 은밀하게 행동하기 때문에 맞대응 공격에 나서는 것도 까다롭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