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0일 "김정은 동지께서 19일 러시아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동지와 회담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양국은 회담에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했다./뉴스1

북한과 러시아가 19일 정상회담을 하고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맺은 후 중국 정부는 “양국 간의 일”이라며 선을 그으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중국이 북·러의 급속 밀착으로 자국의 대북 영향력 약화와 동아시아 지역 분쟁 확대 가능성을 우려하면서 말을 아끼고 있는 것이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중국은 북·러 밀착이 자국을 압박하는 미국의 힘을 뺄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면서도,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을 경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0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러가 협정 체결로 동맹 관계를 복원했다는 주장과 한반도·유라시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리는 관련 보도에 주목했다”면서 “이는 북·러 간의 양자 협력 사무로, 논평하지 않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문제에 관한 중국의 입장은 일관된다”면서 “시종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고,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프로세스를 추동하는 것이 각 당사자의 공동 이익에 부합한다고 인식해왔다”고 했다. 북한을 겨냥한 제재나 군사 훈련 대신 정치적 협상을 우선하는 중국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린 대변인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회담 후 유엔의 대북 제재를 고쳐야 한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서도 “러시아와 북한의 협력은 두 주권국 간의 일로 중국은 관련 상황을 파악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이어 “원칙적으로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서 덮어놓고 제재와 압박만 하는 것으론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정치적 해결이 유일한 출구라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관영 매체들도 북·러 정상회담 사실을 건조하게 보도했다. 19일 중국 국영 CCTV는 저녁 메인 뉴스에서 북·러 정상회담 소식에 20초 만을 할애해 단 두 문장으로 보도했다. 관영 신화통신도 “러시아는 협정에 근거해 북한과 군사 기술 협력을 추진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한 푸틴의 말만 인용하고 중국에 대한 영향은 언급하지 않았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