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영 CCTV가 19일 저녁 북한과 러시아의 정상회담을 보도하고 있다. 이날 보도 분량은 20초, 단 두 문장에 그쳤다. /중국 CCTV

중국 관영 매체들은 19일 북·러가 정상회담을 갖고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한 데 대해 최소한으로 보도하고 있다. 북·러 군사 밀착으로 인해 자국의 대북 영향력이 축소되고, 역내 분쟁이 확대될 가능성을 우려하는 중국이 말을 아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번 회담을 계기로 체결한 협정에는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으면 지체 없이 군사적 원조를 제공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일각에선 1996년 폐기된 ‘조·소 우호 협조 및 상호 원조에 관한 조약’의 ‘자동 군사 개입’ 조항이 부활했다고 보고 있다.

19일 저녁 중국 국영 CCTV는 메인뉴스인 ‘신원롄보’에서 단 20초를 할애해 북·러 정상회담 소식을 전했다. 짧은 두 문장으로 양국 정상이 만난 사실과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체결을 언급했을 뿐이다. 작년 9월 13일 러시아에서 북·러 정상이 만났을 때 35초였던 보도 분량보다 짧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같은 날 협정 체결 소식을 전하며 평론 없이 푸틴의 말을 인용해 “러시아는 협정에 근거해 북한과 군사 기술 협력을 추진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했다. 또 다른 기사에서는 “러·북 관계 강화는 양국에 전략적 의미가 크다”고 평가하면서도, 중국에 미칠 영향은 언급하지 않았다.

20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푸틴의 방북을 강조하지 않고 “푸틴이 올해 들어 2차 아시아 순방에 나서 북한과 베트남을 연달아 방문한다”면서 “러시아가 ‘동전남진(東轉南進·아시아와 남반구 개발도상국 적극 공략)’ 전략에 속도를 높였다”고 했다.

중국 입장에서 북·러 급속 밀착은 심기가 불편할 일이다. 중국이 그동안 유지했던 북한에 대한 독점적인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한·미·일 등에 대한 ‘협상 카드’로 내세우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북·러의 교류 확대 속에 북·중·러 진영이 고착화하게 되면 중국은 프랑스·독일 등 유럽 국가들의 반발을 피하기 어렵고, 운신의 폭이 좁아져 미·중 경쟁에서 불리해질 가능성도 커진다. 영국 BBC방송은 “북·러 관계 급속 밀착에 대한 중국의 불편한 속내가 드러나고 있다”면서 “푸틴이 최근 중국 방문 직후 곧장 북한으로 가지 않은 이유도 중국의 의중을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