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진행된 북한과 러시아의 정상회담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악수하고 있다. /노동신문 뉴스1

러시아 외무부가 북한과 러시아가 지난 19일 체결한 ‘포괄적 전략 동반자 조약’(북러 조약)이 군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국가들에 대한 ‘경고’라면서 “한국이나 제3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고 밝혔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25일 러 스푸트니크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러 조약은 한반도와 역내 전체 문제를 군사적으로 해결하길 기대하거나 계획하고 있는 국가들에 대한 일종의 경고”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한국이나 제3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면서 “이미 어려운 상황의 동북아 정세를 악화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이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합의를 차분하게 받아들이고, 러시아와의 관계에 있어서 건전한 접근 방식을 택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안드레이 루덴코(Андрей Руденко) 러시아 외무차관. /러시아 외교부

그는 역내 긴장 주요 원인으론 “무엇보다 한반도 긴장을 이용해 이 지역(동북아)에서 지속적으로 군사력을 증강하고 있는 (미국의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모든 정책의 주요 목표는 북한뿐만 아니라 중국과 러시아를 봉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중 억지력의 일환으로 미국인들은 지금의 긴장을 이용해 동맹국 영토에 기지와 미사일 시스템을 배치하고 있다”고 했다.

루덴코 차관은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답방을 요청한 것과 관련해서는 “모든 조건이 갖춰지면 김 위원장이 방문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방문에 필요한 모든 조건이 갖춰지고, 이 수준에서 서명해야하는 문서들의 특정 기반이 진전되는 즉시 방문이 이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9월 러시아를 방문했다. 당시 아무르, 하바롭스크, 연해주를 방문했으며, 9월13일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푸틴 대통령과 다양한 형식으로 5시간 넘게 회담했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