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G7 기후·에너지·환경장관회의에서 질베르토 피케토 프라틴 이탈리아 환경에너지안보부 장관이 연설하고 있다./AP 연합뉴스

이탈리아 정부가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탈원전 계획을 폐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탈원전을 선언하고 마지막 원전을 폐쇄한 지 34년 만이다.

질베르토 피케토 프라틴 이탈리아 환경에너지안보부 장관은 14일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수입 화석 연료 의존을 줄이기 위해 2050년까지 원자력이 국가 전력 소비량의 최소 11%를 차지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 10년 안에 가동될 수 있는 소형 모듈 원자로(SMR) 투자를 가능케 하는 법안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라틴 장관은 “태양광과 풍력 같은 친환경 발전으로는 에너지 안보를 충족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이탈리아에서 급격히 증가한 태양광 발전이 중국 일변도의 태양광 패널 수입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은 분명하다”며 “(중국은) 정부가 강력하게 통제하는 기업 시스템을 가진 나라로, (태양광 패널 수입이) 상업적 도구뿐만 아니라 정치적 도구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이탈리아는 한때 유럽에서 가장 큰 원전을 보유한 국가였지만 1986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원전 4기의 가동을 중단했다. 이듬해인 1987년 국민투표 끝에 탈원전이 결정됐고 1990년 마지막 원자로를 폐쇄했다. 오스트리아(1978년), 스웨덴(1980년)에 전 세계에서 3번째로 탈원전을 결정했다.

2008년에는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정부가 원전 재도입을 추진하며 대규모 신규 원전 건설 프로젝트가 잇따랐으나 2011년 다시 치러진 국민투표에서 94% 이상이 반대표를 던지면서 무산됐다. 그해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수입 가스 가격이 치솟자 에너지 안보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고,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신규 원전 도입에 찬성하는 의견이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고 FT는 보도했다.

프라틴 장관은 원자력에 대한 국민의 역사적 혐오감을 극복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고 짚었다. 그는 “젊은이들이 (원전 복구가 국가에 이익이 된다는 사실을) 더 잘 알고 나이 든 사람들은 잘 모르는 경향이 있다”며 “이른바 ‘체르노빌 세대’는 원자력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 자동으로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