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학력 일본 기혼 여성의 합계출산율이 19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 일본 사회가 반색하고 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로, 인구 추이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다. 30여 년 동안 인구 감소와 전쟁을 벌였지만 그동안 제대로 된 해법을 찾지 못한 일본에 실낱 같은 희망이 생긴 것이다.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2021년 출생 동향 기본 조사’에 따르면, 대졸 이상 학력인 기혼 여성의 출산율이 1.74명을 기록했다. 직전 조사인 2015년(1.66명)에서 증가했다. 2002년 2.21명에서 조사를 할 때마다 줄곧 감소하다가 19년 만에 반등에 성공한 것이다.
그동안 일본에선 대졸 이상 고학력 여성은 직장 생활과 육아를 병행하는 어려움 탓에 출산율이 지속적으로 떨어져 인구 감소의 주된 요인의 하나로 꼽혔는데, 이 연구소는 “(일본) 정부의 지속적인 육아 환경 개선, 일하는 방식의 개혁 때문에 고학력 여성이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것이 원활해졌다”고 평가했다.
일본은 30여 년 전 이른바 ‘1.57 쇼크’에 직면했고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인구 감소 위기론에 휩싸였다. 1.57 쇼크는 1989년에 기록한 출산율 1.57명을 일컫는다. 이후 일본은 인구 감소를 막고자 출산 보조금이나 보육 시설 확충 등 온갖 수단을 모두 썼다. 2020년에는 인구가 48만명 줄었고, 지난해에는 72만명 감소하며 ‘일본 소멸’ 같은 최악의 시나리오가 거론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2005년에 출산율 1.26명으로 바닥을 찍은 뒤 이후 줄곧 1.3~1.4명 선을 유지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해 출산율이 1.3명으로 0.81명인 한국보다는 높지만 인구 감소 문제가 심각하다. 이런 상황에서 재택근무나 정시 퇴근 등 ‘일하는 방식’을 혁신한 덕분에 고학력 여성도 인구 지지 선인 ‘출산율 2.1명’을 회복할 잠재력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4월 도쿄에 본사를 둔 무역 회사인 이토추상사는 자사 여성 직원의 2021년 출산율이 1.97명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같은 해 일본 평균(1.33명)을 크게 웃돌 뿐 아니라, 인구 감소를 막을 수 있는 지지 선인 2.1명에 근접한 ‘꿈의 수치’였다. 2010년만 해도 0.94명으로 일본 평균치를 한참 밑돌던 이토추상사의 출산율이 2015년 1.54명으로 반등하더니 지난해에는 2명에 바싹 다가선 것이다.
이토추상사는 2010년 ‘일하는 방식’ 혁신을 시작했다. 해외 근무가 많은 데다 야근도 빈번해 여성 인재의 이탈이 경영상 심각한 문제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출산율 대책이라기보다는 인적 경쟁력 강화책이었다. 필요시 하루 근무 시간 단축이나 육아 휴직제 도입, 관리 직군에 대한 여성 할당제 같은 우대 정책을 속속 도입했지만, 여성 인재 이탈을 막지는 못했다.
반전은 2013년 ‘아침형 근무 제도’를 도입하며 시작됐다. 오후 8시 이후에 근무하는 야근을 금지하는 대신, 잔업을 아침 5시부터 8시 사이에 집에서 처리하도록 한 것이다. 새벽 잔업에는 할증 수당을 지급했다. 이토추상사는 야근의 효율성 개선도 함께 노렸다. 저녁 야근은 퇴근 시간이 불분명해 늘어졌지만, 새벽 잔업은 주어진 시간이 명확해 업무 집중도가 높아졌다는 것이다.
어린 자녀를 둔 남녀 직원들은 집에서 새벽 근무를 마친 뒤 오전 8시 출근길에 아이를 보육 시설에 맡겼다. 이후 회사에서 집중적으로 근무하고, 오후 3~6시 사이에 퇴근했다. 미혼인 젊은 남녀 직원들은 회사의 간섭이 전혀 없는 ‘저녁이 있는 삶’에 만족했다. 야근 문화에 익숙한 중년 남성 직원 일부의 반발이 있었지만, 현재 전체 직원의 절반가량이 아침형 근무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무라키 아쓰코 이토추상사 여성활약추진위원장은 “일하는 방식을 개혁하자 출산율이 크게 올랐다”며 “성별과 무관하게 일하는 분위기를 모두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육아를 하는 직원만을 대상으로 한 제도는 막상 도입해도 여성 직원에게 별 도움이 안 됐다는 것이다. 직장 상사가 육아하는 여성 직원을 배려하기 위해 다른 동료들은 모두 야근하는데 혼자만 퇴근시켜 주는 방식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얘기다. 일을 떠맡게 된 직원들의 불만이 그 여성 직원을 향하고, 자신도 직장 생활의 활력을 잃는 경향이 강했다는 것이다. 아침형 근무 제도를 도입한 이후 출산한 여성 직원들은 거의 전원이 복직해 여성 인재 이탈도 막았다.
이토추상사는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인사팀에 맡기지 않고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인 이사회 직속 조직에 둔 대목에서도 다른 회사와 달랐다. 도요게이자이신문은 “인사팀이 아무리 여성 활동을 중시하는 방안을 내놔도, 결국 돈을 버는 영업 조직이 반발하면 관철할 수 없다”며 “이사회가 전면에 나서 결정해야 여성 활동 지원이 단순히 여성 우대가 아닌, 조직의 생존 전략이란 인식을 조직 구성원들이 공유한다”고 전했다.
일본 인구 전문가들은 기업의 일하는 방식 혁신은 경제적 여력은 있지만 ‘시간 빈곤’에 시달리는 대졸 정규직 부부에게 출산과 육아의 길을 넓히는 효과가 있다고 본다. 시간 빈곤이란 행복을 누릴 여유 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일본인의 1일 평균 근무 시간(통근 시간 포함)은 363분으로 주요 7국(G7) 가운데 가장 긴 반면, 수면과 휴식 시간은 620분으로 가장 짧다. 취미 활동 시간(278분)이나 가사나 가족 돌보는 시간(132분)도 최하위권이다. 아이를 낳는 순간, 일과 육아에 매몰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한국도 근무 시간이나 휴식·취미 시간에서 일본과 비슷한 정도로 열악한 상황이다. 반면 G7에서 출산율이 가장 높은 프랑스는 하루에 204분 일했고, 수면이나 휴식 시간이 752분에 달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게이오대 연구팀이 일본 가정을 분석한 결과, 6세 미만 아이를 둔 직장인(정규직) 여성은 80.9%가 시간 빈곤 상태였고, 같은 조건의 남성은 17.4%였다”며 “아내에게 육아를 떠맡기는 일본 가부장 문화 탓에 여성 직장인이 출산과 육아에서 훨씬 불리하다”고 보도했다.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이 가져온 재택근무라는 새로운 근무 형태가 시간 빈곤에 시달리며 출산을 주저하는 직장인 여성의 부담을 덜어줄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일본 NTT그룹은 지난 7월부터 주요 계열사 직원 3만명을 대상으로 재택근무를 시작했다. 출퇴근 없는 재택근무가 원칙이며, 사무실 출근은 출장으로 취급해 숙박비와 교통비를 지급한다. 장기적으로는 18만명에 달하는 NTT그룹 직원 전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야후재팬도 직원 8000여 명 전원을 대상으로 재택근무를 실시하고 있다. 히타치제작소나 NEC, 파나소닉홀딩스, 미즈호파이낸셜그룹 등은 주 4일제를 전면 도입했거나 시범 운영하고 있다.
[日 비정규직 남성 60%는 평생 결혼 못해]
낮은 연봉에 결혼시장서 배제… 혼인 줄면 출생률 안 올라
韓도 혼인 건수 급락할 우려 있어
일본 정부는 최근 ‘일본인 생애 미혼율(2020년 기준)’을 발표했다. 생애(生涯) 미혼율은 평생 한 번도 결혼한 적 없는 사람들의 비율이다. 결혼 적령기가 훌쩍 지난 45~54세 미혼자 비율을 평균해 산출한다. 혼인 건수가 많을수록 출산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생애 미혼율은 인구 감소 흐름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다. 뜻밖의 결과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엄청난 격차였다. 비정규직 남성의 생애 미혼율은 60.4%에 달했다. 10명 중 6명이 한 번도 결혼하지 못하는 것이다. 정규직 남성은 19.6%였다. 더 큰 문제는 비정규직 남성의 생애 미혼율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대목이다. 2010년 조사 때 40%에서 2015년에는 50.7%로 올랐다. 5년 단위로 10%포인트씩 오르는 셈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025년에는 70%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비정규직 남성의 결혼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는 해법을 못 찾고 있다. 낮은 연봉의 비정규직 남성들은 이른바 ‘곤카쓰(婚活·구혼 활동)’ 시장에서 사실상 배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아사히신문이 4년 전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결혼 상대방의 희망 연봉을 조사한 결과, 여성의 63%가 ‘연 수입 400만엔(약 4000만원) 이상’이라고 답했다. 후생노동성 임금 통계에 따르면 비정규직 남성은 50세가 돼도 연 수입이 200만~300만엔 수준에 그친다. 일본의 연간 혼인 건수가 2018년 58만6481건에서 지난해 50만1138건으로 감소한 배경에도 비정규직 남성의 문제가 있다.
한국도 비슷한 상황이다. 최근 5년간 비정규직이 150만명 이상 증가해 800만명을 넘었다. 특히 20대 비정규직이 늘어나, 20대 임금 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율이 2016년 32%에서 지난해 40%로 뛰었다. 비정규직 평균 월급은 180만원 안팎으로, 정규직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게 현실이다. 이 20대가 결혼 적령기를 지나는 20년간 한국에서도 혼인 건수의 급락 문제가 불거질 개연성이 크다.
야마다 마사히로 주오대 교수(가족사회학)는 “여성 입장에선 결혼했는데 남편 수입이 많지 않으면 중산층에서 탈락할 위험이 크기 때문에 비정규직 남성을 배제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결혼한 부부가 자녀를 2명씩 낳는다고 해도 현재와 같은 미혼율을 극복하지 못하면 인구 감소를 피하기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