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부터 고독사가 사회문제로 등장한 일본은 정부 차원에서 고독사 통계를 내거나 대책을 만들지 않는다. 유일한 공식 통계는 도쿄의 시체 해부 행정기구인 ‘도쿄도간사쓰이무인’이 부자연스러운 사인을 확인할 때 ‘독거사’로 처리해 집계하는 것이다.

도쿄(23구)에서는 고독사가 2016년 3179명에서 2020년 4238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일본은 65세 이상 고령자 열 명 가운데 세 명(29.6%)이 단독 가구여서 고독사는 앞으로도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아사히신문은 “정부 통계가 없지만 코로나 상황에서 고독사가 급증했을 것”이라며 “특수 청소 업체인 알파링크의 경우 고독사로 추정되는 청소 의뢰 건수가 2020년에 41건에서 2021년에는 110건, 올해는 9월까지 147건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은 지자체마다 다양한 고독사 대책을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일본 나가노현 야스오카무라(村)에서는 공무원들이 이 지역의 독거노인 집을 1000엔(약 9600원)어치 술과 마른 안주를 사서 수시로 방문한다. 담소를 나누며 자연스럽게 건강 상태를 파악해 유사시 보건소, 경찰에 연락이 되도록 한다. 당초 알코올 의존증이 있는 노인들을 위한 대책이었는데, 지금은 고독사(孤獨死) 대책으로 활용하고 있다.

도쿄의 고토구는 만성질환이 있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집에 긴급 호출 버튼을 설치하고 있다. 몸에 이상을 느낀 노인이 버튼을 누르면, 집 열쇠를 갖고 있는 경비 회사가 즉시 출동한다. 일반인은 월 1500엔을 내지만, 저소득층은 750엔, 생활 보호 대상자는 무료다.

홋카이도 구시로시에선 ‘독거 고령자에게 말 걸기 운동’을 펼치고 있다. 인근 주민과 교류가 적은 70세 이상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구시로시에서 요구르트 판매점에 주 2회 자택 방문을 위탁하는 것이다. 요구르트를 건네면서 안부를 확인한다. 정해진 시간에 방문했는데 응답이 없거나 부재중일 때는 요구르트 배달원이 시청이나 경찰에 연락하는 방식이다.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는 건강한 70세 안팎 어르신에게 주변의 75세 이상 고령자를 부탁한다. 체력이 되는 노인이 마을을 돌면서 안부 인사를 나누는 것이다.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시도도 있다. 비영리 법인인 엔리치는 우리나라의 카카오톡과 같은 ‘라인’으로 돌보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용자가 설정한 간격에 맞춰 안부 확인 메시지를 라인으로 보낸다. 24시간 이내에 메시지의 ‘오케이(OK)’ 버튼을 안 누르면 전화로 재확인한다. 그래도 응답이 없으면 사전에 등록한 지인이나 친척에게 연락한다. IT 회사인 테라합동회사는 고독사 방지 앱 ‘링크플라스’를 내놨다. 이용자가 안부 확인 통지에 반응하지 않으면 긴급 연락처로 이메일을 보내는 구조다.

일본 잡지인 선데이마이니치는 “고령자 본인이 스스로 고독사에 대처해야 한다”며 “고독사 예방 3조건은 우선 근처의 이웃과 친분을 가져야 하고, 둘째 반상회와 같은 마을 모임에는 꼭 참가하고, 셋째 취미나 자원봉사와 같은 활동을 해서 일과 무관한 지인이 있어야 한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