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차관급) 및 참석자들이 추모 묵념을 하는 가운데 한국 정부 관계자 및 유가족의 자리가 비어 있다. 한편 정부는 일본 주최 사도광산 추도식에 우리 정부가 불참하기로 결정했으며 사도광산 강제징용 피해자 유족들은 별도로 추모 행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뉴스1

24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인근의 사도시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는 일본 정부를 대표한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을 비롯해 하나즈미 히데요 니가타현 지사, 와타나베 류고 사도시 시장 등이 참석했다. 한국 측 정부 인사와 강제 노역자 유가족은 불참했다. 당초 100명이 참석할 예정이었던 추도식은 한국 측 불참으로 약 40석이 빈 채로 진행됐다.

일본 대표로 참석한 정무관은 통상 정치인이 맡는 자리로, 한국의 차관급~국장급으로 여겨진다. 부처에선 대신·부대신 다음이다. 외무성에는 부대신 2명과 정무관 3명이 있다. 일본 측은 처음부터 외무상의 추도식 참석을 고려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참의원(상원) 의원 초선인 이쿠이나 정무관은 다선(多選) 의원이 대부분인 일본 정치에서는 신참에 해당한다.

묵념, 인사말, 헌화 순으로 진행된 행사에서 이쿠이나 정무관은 ‘조선인 강제 동원’은 한 차례도 언급하지 않았다. 사도광산에서 일한 수많은 노동자 가운데 한반도 출신 노동자도 있었다는 수준의 언급만 있었다. 그는 “사도광산은 전통적인 수공업으로 고품질의 금을 대량 생산했고 이는 역사적으로 가치 있는 일”이라며 “눈부신 성과 뒤에는 때로는 위험이 따르는 가혹한 환경에서 노동한 광산 노동자의 헌신이 있었다”고 했다.

그는 강제 동원된 조선인의 노역에 앞서 무슈쿠닌(無宿人)을 언급했다. 무슈쿠닌은 에도시대에 집 없이 떠돌던 사람을 지칭한다. 그는 “에도시대 때 무슈쿠닌이란 사람들도 광산에서 일했다고 전해진다”고 말했다. 강제 노역 조선인에 대해서는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이었다 하더라도, 조선반도(한반도를 지칭)에서 온 노동자들은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땅에서 탄광의 위험한 환경에서 노동을 했다”며 “유감스럽게도 이 땅에서 죽은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강제성과 관련해서는 “1940년대 우리 나라(일본)의 전시(戰時) 노동자 정책에 따라 조선반도에서 왔다”며 사실상 언급을 회피했다.

이쿠이나 정무관은 야스쿠니 신사 참배 여부를 묻는 한국 취재진의 질문에도 답하지 않았다. 일본의 한 방송사가 “이쿠이나 정무관이 ‘의원 취임 후 야스쿠니에 참배하지 않았다’고 말했다”고 보도했지만, 사실 여부는 두고 봐야 한다. 아사히신문은 이날 “이쿠이나 의원실에 참배 여부를 질의했지만 23일 밤 현재까지 답변이 없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