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측이 경합지역 주 정부를 상대로 개표 과정에 문제를 제기하며 제기한 줄소송에서 잇따라 실망스런 성적표를 받아들였다. 불리한 개표 결과에 맞서 대규모 소송전으로 대응한다는 트럼프 캠프의 전략이 다소 차질을 빚게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AP통신에 따르면 조지아주 법원은 트럼프 선거대책본부가 투표용지 전달과정에 문제가 있으니 적절한 조치를 취해달라며 채섬 카운티 선거관리위원회를 상대로 낸 소송을 5일 기각했다. 트럼프 캠프 선대본부 측은 채섬 카운티에서 53개의 부재자 투표용지가 법정 기한을 넘겨 도착해 투표용지 효력을 잃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법원은 이날 심리에서 카운티 당국자들로부터 “해당 투표용지가 모두 제 시간에 도착했다”는 증언을 들은 뒤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결정했다. 트럼프 캠프는 조지아주 내 10여개 다른 카운티에서도 비슷한 소송을 낼 계획이었다.
전통적으로 공화당 텃밭이지만 선거 전 새로운 경합지역으로도 분류됐던 조지아는 투표 내내 트럼프 대통령이 여유있게 앞서갔지만 개표 완료시점이 가까워져오면서 바이든 후보가 무섭게 따라붙었다.
현재 99%까지 개표가 완료된 가운데 두 후보간의 표차는 불과 0.2%포인트(트럼프 49.5%, 바이든 49.3%)까지 좁혀져 바이든의 역전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다. 조지아를 잃게 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은 완전히 물건너간다.
트럼프 캠프가 막판 뼈아픈 역전패를 당한 미시간주를 상대로 낸 개표절차 중단 소송도 1심에서 기각됐다. 트럼프 대통령 측은 민주당 소속 미시간주 주 장관이 개표과정에서 양당 참관자가 없는 상황에서 부재자 투표가 개표되도록 허용하는 등 불법 행위가 있었다고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 않았다.
반면 펜실베이니아를 상대로 낸 개표 절차 중단 소송에 대해서는 법원이 “6피트(약 1.8m) 거리에서 우편투표용지 개표절차를 참관할 수 있도록 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이 판결은 현재 진행 중인 개표절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게 아니어서 실효성은 크지 않다.
한편 이날 네바다주에서도 공화당 관계자들이 투-개표 과정에서 부정행위가 만연했다고 주장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소송 방침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