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지난달 미국 텍사스주의 기록적인 한파로 가동이 중단됐던 오스틴 반도체 공장이 지난주부터 정상 가동단계에 들어갔다고 30일 밝혔다. 사진은 삼성전자 미국 오스틴 반도체 공장 전경. /삼성전자

세계적 반도체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백악관이 삼성전자를 호출했다. 한·미·일 3국 안보실장 회의에서도 ‘반도체 공급망 협력’이 안건으로 올랐다.

블룸버그통신은 1일(현지 시각)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이 산업계 지도자들을 만나 세계적 반도체 품귀 현상과 그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초청 받은 기업 중엔 반도체 제조업체인 삼성전자, 글로벌 파운드리와 자동차 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가 있다. 세계 산업계는 코로나 대유행 이후 미·중 갈등, 가전·IT 업계의 반도체 수요 증가 등 복합적 원인으로 반도체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특히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심각해 GM 등 많은 업체가 감산(減産)에 들어갔다. 반도체 부족이 코로나 이후 경기 회복의 걸림돌이 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반도체 업계에선 백악관의 삼성전자 호출을 미국 내 반도체 파운드리(위탁 생산) 공장 증설을 서두르라는 강력한 압박으로 해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작년부터 한국 평택과 미국 텍사스 오스틴, 뉴욕 버펄로, 애리조나 등을 파운드리 신규 공장 후보지로 검토해 왔다.

백악관의 이번 회의 개최는 당면한 차량용 반도체 부족 문제 해결이 1차적 목적일 수 있다. 하지만 미국은 더 큰 국가 안보 전략 차원에서도 ‘반도체 자립’을 위해 안정적 반도체 공급망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 대유행 이후 필수 품목의 생산은 외국에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는 반성이 커졌고, 반도체는 가전제품부터 자동차와 무기 체계까지 현대인의 생활에 필요한 거의 모든 제품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는 반도체 분야에서 주도권을 확보해 중국에 대한 견제를 강화하려는 목적도 있다. 이 때문에 국방 예산을 편성하는 국방수권법에도 반도체 연구·개발을 위한 예산을 포함했고, 조 바이든 대통령도 지난 2월 직접 나서 반도체의 미국 내 생산·연구·개발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