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의 성 미하일 황금 돔 수도원 광장에 우크라이나군에게 파괴된 러시아군 장갑차에서 수습된 군화가 놓여져 있다./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6·25전쟁의 ‘재현’(redux)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조 잉게 베케볼 노르웨이 국방연구원 연구원은 28일(현지 시각) 미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FP) 기고 글에서 “역사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가장 유사한 분쟁은 의심의 여지 없이 6·25전쟁”이라며 “전쟁의 기원이나 규모는 다르지만 둘 다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전쟁”이라고 했다. 그는 “1950년 6·25전쟁 발발 이후 이 전쟁은 미국과 소련의 양극화된 냉전 구조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고, 냉전의 규칙을 만드는 데도 영향을 줬다”며 “우크라이나 전쟁도 지정학적 재편을 예고하고 있다”고 했다.

베케볼 연구원은 “(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의 중국 의존도를 증가시키고 있다”며 “중국은 러시아의 1위 교역국이고, 전 세계 어느 나라보다 많은 원유를 러시아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또 새로 건설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천연가스 수송량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중국의 최대 원유 수입국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최근 러시아로 바뀌었다. 중국의 지난달 러시아산 원유 수입량은 전월 대비 28% 증가했다.

그는 또 “이번 전쟁으로 유럽인들은 중국을 ‘잠재적 안보 위협’으로 보는 시각을 더 확고히 하고 있다”고 했다.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는 29일 중국의 위협에 대한 대응 방안을 담은 새로운 ‘전략 개념’을 채택했다. 베케볼 연구원은 유럽에서 화웨이 등 중국 통신 회사들을 5G(세대) 인프라 구축에서 배제하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도 유럽이 탈(脫)중국화에 나서는 사례라고 했다. 이어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이 회원국으로 있는 나토가 단결하는 것도 우크라이나 사태가 촉발한 지정학적 재편 양상”이라며 “유럽과 미국 간 불화 우려가 지난 몇 년간 커졌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사태는 이 같은 현상을 역전시켰다”고 했다.

그는 “과거 육지가 초점이 된 냉전과는 대조적으로, 미·중 경쟁의 주요 전구(戰區)는 바다가 될 것”이라며 “광활한 인도·태평양 지역은 잠재적으로 예측 불가능한 환경이 될 것이다. 해양의 주도권을 놓고 두 나라가 경쟁하는 것은 바다에서의 사건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