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현지 시각)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주 이지움의 한 주거용 건물이 폭격에 의해 손상돼 있다./AFP 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주년이 다가오면서 우크라이나 재건 논의도 본격화하고 있다. 러시아의 공격으로 파괴된 에너지 공급망과 철도 등 핵심 기반 시설을 신속하게 복구해야 우크라이나 국민이 최소한의 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쟁을 계속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은행(WB)과 EU 집행위원회는 지난해 공동 보고서에서 우크라이나 재건 비용을 3490억달러(약 452조원)로 추산한 바 있다. 이는 2021년 우크라이나 국내총생산의 약 1.5배 규모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작년 11월 우크라이나 재건에 1조 달러(약 1296조원) 이상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었다.

마크 하퍼 영국 교통부 장관은 21일 우크라이나 철도 복구를 위해 장비·자재와 인력을 지원하겠다고 밝히며 “우크라이나 승리를 위한 더 큰 노력의 일환”이라고 했다. 올해 6월 ‘우크라이나 재건 회의(URC)’를 주최할 예정인 영국 정부는 우크라이나 인프라 긴급 복구에만 1000만 파운드(약 155억원) 규모의 지원을 약속했다. 전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키이우를 깜짝 방문한 뒤 미국 국무부도 4억5000만 달러(약 5381억원)의 군사 지원과는 별도로 우크라이나의 에너지 인프라 유지를 위해 1000만 달러(약 129억원)를 추가 투입한다고 밝혔다.

종전 후를 염두에 둔 재건 논의도 시작되고 있다. 이달 초 우크라이나 경제부는 재건과 재정 관련 자문을 위해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체이스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우크라이나 상공회의소가 ‘세계 최대의 건설 현장’이라고 표현한 우크라이나 재건 시장 선점에 세계 각국 기업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16일 서울지방조달청 주최로 열린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정부 조달 시장 진출 설명회’에는 우리 기업 약 300곳이 참석했다. 앞서 프랑스와 폴란드에서 열린 비슷한 설명회도 성황리에 개최됐다. 뉴욕타임스는 “세계의 수많은 기업이 종전 후 우크라이나 재건이란 잠재적 ‘골드 러시’에 대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위험을 무릅쓰고 지금 돈을 투입하려는 민간 투자자는 거의 없다”며 러시아군이 철군해야만 투자가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