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 시각) 뉴욕에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5개국과의 'C5+1'(중앙아시아 5개국과 미국 간 협의체) 정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 시각) 유엔 총회가 열리는 뉴욕에서 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 등 중앙아시아 5국 대통령과 역사상 첫 ‘미국·중앙아시아 정상회의’를 열었다. 바이든은 “(5국) 대통령 모두와 여기 모인 것은 영광”이라며 “역사적 순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보다 넉 달 전인 지난 5월 중앙아 5국 정상을 산시성 시안으로 초청해 역시 사상 첫 중국·중앙아 정상회의를 열었다.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요충지이자 대표적인 자원 부국인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자신의 영향권에 두려는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앙아시아 국가 이름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스탄’은 페르시아어로 ‘땅’ 또는 ‘나라’라는 뜻이다. 포브스는 19일 “미국은 주요 경쟁국인 중국이 공략하는 ‘스탄 5국(the five ‘Stans)’의 새로운 친구가 되려고 한다”고 했다.

중앙아시아 5국은 1991년 말 소련이 붕괴될 때 떨어져나와 독립했다. 인종적으로는 비유럽계 유목·기마 민족의 후예들이 주류이고, 종교적으로는 이슬람교가 다수다. 과거 소련의 일원이었던 우크라이나·조지아 등이 소련을 사실상 승계한 러시아와 갈등을 빚고 무력 충돌을 벌였던 것과 달리 러시아와 대체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이 때문에 ‘러시아의 뒷마당’이라고 불렸을 정도다. 그러나 지난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뒤 국제적으로 고립된 러시아의 장악력이 약해진 틈을 타 이 지역을 겨냥한 미·중의 외교 공세가 한층 강화되고 있다.

그래픽=김현국

바이든은 이날 정상회의에서 최우선 협력 분야로 ‘광물’을 적시했다. 미국이 중앙아 5국과 광물 자원을 함께 개발하고, 핵심 광물의 안보 증진을 위한 ‘C5+1 핵심 광물 대화’를 신설하자고 제안했다. 앞서 중국이 지난 8월부터 반도체 등 전자제품 생산에 필요한 갈륨과 게르마늄의 수출을 통제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핵심 광물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공급처로 중앙아시아를 공략하려 한다는 분석이다. 실제 중앙아시아에는 크롬·아연·우라늄·금·텅스텐·몰리브덴·안티몬·수은 등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광물과 희토류의 매장량이 풍부하다.

이와 관련, 백악관은 ‘핵심 광물 대화’는 ‘글로벌 인프라 투자 파트너십(PGII)’을 통해 추진 중인 ‘환카스피해 무역로’ 개발의 일환이라고도 밝혔다. PGII는 시진핑의 세계 경제·군사 영토 확장 사업인 ‘일대일로(一帶一路·육로와 해상 실크로드)’를 견제하기 위해 바이든 행정부가 서방 국가들을 모아 출범한 글로벌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다. 미국은 이번 정상회의에 이어 다음 달 미국 국제개발처(USAID) 주최로 중앙아시아에서 C5+1 장관급 회의를 열고 미국 주도의 경제개발 프로젝트를 논의할 예정이다.

미국의 ‘중앙아시아 챙기기’는 일부 중앙아 국가와는 국경도 맞대고 있는 중국이 이곳에서 영향력을 본격적으로 확대하지 못하도록 견제하려는 포석도 있다. 중앙아시아를 경제·안보 측면에서 지원하며 중국을 효과적으로 견제하는 동시에 안정적인 자원 공급처도 확보하는 일석이조를 노릴 수 있다.

중앙아시아 입장에서도 미국의 러브콜을 굳이 마다할 이유가 없다. 중국과 러시아가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매장된 천연·광물 자원을 독점하며 사실상 ‘원자재 창고’처럼 써온 상황에서 미국이 이들 국가와 가까워지면 중앙아시아 입장에선 ‘협상 카드’ 한 장이 늘어나게 되는 효과도 있기 때문이다. 카자흐스탄의 원유(세계 부존량의 11%)와 우라늄(세계 매장량의 40%), 투르크메니스탄의 천연가스(세계 매장량의 12%), 우즈베키스탄의 금(매장량 4위) 등은 지금껏 중·러 공급에 절대적으로 의존한 탓에 가격이 사실상 통제돼왔다.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중동·유럽을 잇는 중앙아시아는 고대부터 문명의 교차로 역할을 해온 지정학적 요충지였다. 포브스는 “인도·사우디아라비아·유럽을 잇는 무역 통로를 개척하고자 하는 미국으로서는 실크로드의 핵심 구간인 중앙아시아의 중요성은 크다”고 했다. 이에 따라 중앙아 지역에서 경제개발과 투자 등 각종 선물보따리를 안기며 자신들의 영향권으로 두려는 미·중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제78차 유엔총회가 진행 중인 미국 뉴욕에서 19일(현지 시각) 미국과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5개국 정상이 참석하는 'C5+1' 정상회의가 열렸다. 왼쪽부터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에모말리 라흐몬 타지키스탄 대통령,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사디프 자파로프 키르기스스탄 대통령,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